햐, 한 번도 본 적 없는 이런 격동의 시기를 또 볼 줄은 몰랐다. 대통령 탄핵에 이어 국무총리가 탄핵되었다. 드디어 경제부총리가 대통령 권한 대행이 되었다. 뭐라고 서류에 썼든, 헌법재판소 재판관 임명을 거부하는 권한 대행은 이제 즉각 탄핵각이다.
그렇다고 무한대로 이 탄핵을 진행할 수도 없다. 탄핵된 국무위원이 너무 많아지면, 국무회의 자체가 마비 된다. 거기까지가 할 수 있는 한계점이다. 그야말로 대혼돈의 시대다.
정치가 무엇인가,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된다. 뭐라고 말하든, 정치는 국가의 주요 사안을 결정하는 과정이다. 윤석열이 정치인도 아니라고 하는 건, 도통 대화라는 걸 안하고 힘으로 밀어붙이는 것만 했기 때문이다. 좋든 싫든, 얘기를 하고, 대화를 하는 게 정치다.
그건 지금 민주당에게도 마찬가지다. 헌재 재판관 임명해. 안 해? 그럼 탄핵, 자 다음! 이런 식으로 움직이는 게 기분은 속시원하겠지만, 그럼 다시 정치 실종이다. 그렇게 해서는 명분이 않고, 당위만 남게 된다. 그렇게 당위로 직진하는 게 정치는 아니다. 국민 모두가 윤석열 탄핵에 찬성하는 것도 아니고, 그때그때 판단을 바꿀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들도 많다. 직진형 정치, 이게 다가 아니다. 게다가 지금의 국무위원 면면을 보면 금방 알겠지만, 한국은 여전히 기득권 세력이 강하다. 그리고 그들끼리 강하게 결탁되어 있다. 그렇게 끈적끈적하게 살아온 사람들은 명예보다 ‘배신자’가 현실적으로 더 두려운 요소다. 이 정도면 받을 것도 같은데, 그게 현실이 되기 어렵다. 차라리 그냥 탄핵당하고, 언젠가 돌아올 자신들의 시기에 영웅이 되는 게 개인으로서는 더 현실적인 선택이다.
민주당은 그냥 성명서 내거나 기자회견을 하는 게 아니라, 최상목을 만나려는 시도를 해야 한다. 싫다, 혹은 시간 없다, 그래도 계속 만나자고 해야 한다. 공식적으로도 하고, 비공식적으로도 해야 한다. 설득이 안 되어도 그렇게 만나려고 하고, 다양한 경로로 특사가 가든, 혹은 사회원로가 가든, 대화하려는 시도를 해야 한다.
한덕수 때에는 워낙 위중해서 그렇게 못했다고 하더라도, 지금부터는 총리가 아니라 국무위원이다. 최후 통첩 거기에 또 최후의 통첩, 이렇게 지켜보는 사람들이 대화를 하려고 노력하고, 또 노력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게 맞다. 딱 보니까, 안 할 것 같아, 이렇게 하는 건 그렇게 사려 싶은 행동이 아니다. 계속 만나고, 만나지 못해도 만나려고 하는 것, 그게 정치적 모양내기다. 그렇게 명분을 가져야, 사회적 압박이라는 게 생긴다. 힘만으로 모든 걸 풀 수는 없다.
만나주지 않더라도 계속 만나려고 하고, 커피라도 한 잔 마시자고 하는데, 권한대행이 계속해서 만나는 것도 거부하고 있다.. 이런 모양새가 나야, 나중에 탄핵을 하더라도 할 명분들이 생긴다. 아니, 국정을 총괄하는 사람이 용산에 틀어박힌 누구처럼 편지도 안 받고, 전화도 안 받아요, 이런 모양새를 만들어내는 것, 그런 게 정치다. 물론 답답하다. 그렇지만 답답한 것을 기꺼이 하는 인내심과 포용력을 사람들이 보고 싶은 것 아닐까? 그냥 우리랑 의견이 달라, 그래서 직진. 이런 건 정치 과정 실종에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그냥 최종묵이 마음은 어떨까, 그런 판단은 어떨까, 그렇게 처분만 기다리는 것처럼 뚱하니 있는 것은 안 좋다. 시급하게 만나려고 하고, 만나자고도 하고, 그렇게 가는 게 맞다. 정치원로나 종교계 원로, 시민단체 대표들도 “최상목 선생, 우리 만나요”, 이렇게 움직이는 게 더 부드럽다.
급해도 돌아가는 게 정치다. 내란 세력과 무슨 정치냐,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그래도 돌아가고, 얘기도 하고, 만나기도 하는 게 궁극적으로는 명분을 갖게 하는 일이다. 그리고 따져보면 결국은 그게 더 빠르다. 더 부드럽게, 더 많은 명분을 가지고,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주면서 움직이는 것, 그게 정치의 현실적 모습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