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간만에 문재인 대통령 만났다. 임기 끝나자 마자 찾아뵐까 했었는데, 아버지 쓰러지시고, 집이 온통 정신이 없었다. 생각해보니까, 그렇게 많은 시간을 보냈는데, 같이 찍은 사진이 거의 없었다. 

자주 좀 보자고 하셔서, 그러겠다고 했다. 워낙 많은 시간을 보내고, 너무 많은 것을 같이 경험했었다. 그 시간이 사라지지는 않는 것 같다. 정말 간만에 식사도 같이 하고. 

서울에 올라오는데, 마음이 많이 편해졌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 대한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신문 칼럼을 시작하며..  (0) 2025.01.14
청년 백골단..  (0) 2025.01.11
대환장의 시대..  (0) 2025.01.08
지금은 21세기니까  (1) 2025.01.07
조갑제도 아는 것..  (0) 2025.01.04
Posted by retired
,

(AI 그림. 내 실력으로는 요렇게 밖에 ㅠㅠ.)

2월달부터 프레시안에 글을 쓰기로 했다. 올해는 뭔가 좀 심기 일전, 움직여보려고 했고, 새로운 연재를 하나 시작하기로 했다. 

예전에는 프레시안에 많이 썼었다. 그러다 점점 바빠져서, 딱 기본만 했다. 

윤석열의 쿠데타는 정말 충격적이었다. 김용태 신부님 말대로 ‘지랄발광’, 현실이 너무 자극적이다. 그러다보니까, 조근조근 얘기하는 게 전혀 먹힐 공간이 없다. 대통령 경호실이 수성전을 하고, 경찰이 공성전에 나서는 현실, 이게 현실인 시대다. 한국은 여전히 너무 자극적이고, 너무 볼 게 많다. 

최근에 내가 밀고 있는 개념이 ‘대환장의 시대’다. 진짜 환장하게 만드는 일들이 너무 많다. 일본 같으면 상상하기도 어려울 일들이 한국에서는 매일매일 벌어진다. 몇 번도 벌어진다. 

시간이 지나면 이 일은 수습이 되기는 할 것인데, 과거로 돌아가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 어떤 방향으로 가야하는가, 이런 얘기들을 좀 해보고 싶다. 쿠데타 이전에는 진보와 보수가 합의할 수 있는 얘기들, 이런 것에 대한 강조가 많았다. 이제 어느 정도는 한국도 안정된 국가라는 상황 인식이다. 

그런 사회적 합의가 쿠데타와 함께 깨어졌다. 내란 세력하고 뭘 상의해? 정말로 한국의 보수 핵심이 이 정도로 어이가 없을 줄 몰랐다. 정말로 어처구니가 없다. 

이런 시대에 새로운 스타일의 글이 필요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들었다. 대환장의 시대라면, 대환장에 맞는 스타일의 글이 뭔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런 고민을 하면서 프레시안에 새로 연재를 열었다. 칼럼 제목은 좀 더 생각해보려고 하는데, 처음 생각대로 <대환장의 시대>라고 할 것 같다. 내용도 내용이지만, 글 스타일에 대해서도 좀 더 많은 시도를 해보려고 한다. 

눈 오는 날 용산에서 버틴 사람들 보면서, 나도 뭔가 할 수 있는 일들을 찾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 대한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백골단..  (0) 2025.01.11
정말 간만에..  (3) 2025.01.09
지금은 21세기니까  (1) 2025.01.07
조갑제도 아는 것..  (0) 2025.01.04
죽음 에세이, 출간 일정 연기..  (1) 2025.01.02
Posted by retired
,

도서관 책 끝나고 나면, 청소년용 경제학 책, 그 다음이 경제와 인권이다. 처음에는 인권 책 쓸 계획이 없었는데, 윤석열 보면서 이 시대에 결국 인권 얘기가 한 번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생각해보니, 너무 럭셔리한 생각이었다. 너무 기본이 안 된 인간이라서, 인권이고 나발이고, ‘지랄발광’ 정도 얘기가 딱 맞는 시대가 되었다. 

내가 80년대부터 각종 집회를 보고, 그 안에도 많이 있었다. 폭설 내리는 데 시위대가 눈 맞고 버티는 거, 이런 건 정말 처음 본다. 이게 사람 할 짓이 아니다. 욕 안 하려고 하는 데도, 욕이 그냥 나온다. 

윤석열 시대, 인권은 무슨 개뿔. 그냥 기본의 기본만이라도 지키자.. 어이가 없다. 

어쨌든 앉고 싶지 않은 엉덩이를 억지로 붙이고 도서관 경제학 마무리를 하는 중인데, 간만에 19세기의 참정권의 역사를 다시 한 번 들여다보게 되었다. 미국은 언제부터 노동자가 투표권을 갖게 된 거지? 하이고, 까리까리하다. 예전에 경제사 할 때 보기는 봤는데, 이젠 기억이 잘 안 난다. 미국의 경우만 따로 떼어넣고 자세하게 본 적이 없다. 

그런 참정권과 20세기 생각을 하고 있다보니까, 하이고.. 한숨부터 푹푹. 순간 머리 속을 팍 스치고 지나가는 생각이.. 인권과 경제 책 제목으로 “지금은 21세기니까”.

21세기 하고도 20년이 넘게 지났는데, 아직도 20세기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의 이 기묘한 동거라니. 

그런 얘기들을 인권이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차분하게 - 아니 신랄하게 - 한 번 정리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 대한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말 간만에..  (3) 2025.01.09
대환장의 시대..  (0) 2025.01.08
조갑제도 아는 것..  (0) 2025.01.04
죽음 에세이, 출간 일정 연기..  (1) 2025.01.02
2025년 1월 1일  (5) 2025.01.01
Posted by retired
,

도서관 경제학 책 고치는 중이다. 제목은 매우 초기에 “힘내라 도서관”으로 결정이 되었다. 부제는 마땅한 걸 아직 생각을 못했다. 몇 가지 있었는데, 다 그저그랬다. 

책을 고치면서 내용을 다시 차분히 읽다 보니까. 이 책에서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도서관 혁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미국이 독립 이전에 벌어진 한 사건이 모든 얘기를 풀어나가는 단초인데, 그게 정말로 혁명적인 일이었다. 

그렇게 다시 정리를 해보니까, 약간 딱딱하지만 정직한 부제로 “도서관 혁명에서 도서관 경제까지”, 이 정도가 맞을 것 같다. 일단 마음이 편해졌다. 

Posted by retired
,

몇 년간, 거의 매주 만나면서 시민단체 활동 같이 하던 분이다. 하.. 이럴 수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잠시 생각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핵 반대 집회의 유모차..  (1) 2025.01.19
농담도 적당히, "백골단"  (1) 2025.01.09
봄여름가을겨울, 남자의 노래, 황정민 버전  (1) 2025.01.03
용산 유감..  (1) 2025.01.03
윤석열 체포되는 날..  (1) 2025.01.03
Posted by retired
,

한국이라고 부르던 나라를 21세기 들어서 대한민국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국가를 높여야 기분이 좋아지는 것, 별로 좋게 생각하지는 않았다. 내가 나라를 덜 사랑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이라고 해서 나라가 낮아지는 것은 아니다. fta 논쟁 과정에서 '국격'이라는 단어를 내가 처음 썼다. 협상 과정이 너무 대충이라서 그런 얘기를 했었다. 그 다음에는 많이들 썼다. 

'대한민국'이라고 하면서 성조기 들고 다니는 사람들, 너무 이상했다 (멀리 갈 것도 없다. 돌아가신 아버지가 그러셨다.) 

말도 아닌 이유를 대면서 집무 정지 중인 대통령이 체포 영장 거부하는 거 보면서, 이래저래 심난했다. 조갑제가 인터뷰하면서 윤석열 욕하는 거 결국 봤다. 조갑제 눈에도 이상한 건 이상하게 보이나 보다. 윤석열은 감옥보다 병원에 먼저 가야 한다고 한다.. 

한국, 처음부터 다시 출발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윤석열만 내리면 될 일이 아니다. 조갑제도 기본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걸, 너무 많은 사람들이 무시하고 있다. '국가의 기본'이라는 단어를 다시 쓰기로 마음을 먹었다.

'책에 대한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환장의 시대..  (0) 2025.01.08
지금은 21세기니까  (1) 2025.01.07
죽음 에세이, 출간 일정 연기..  (1) 2025.01.02
2025년 1월 1일  (5) 2025.01.01
한 해가 갑니다..  (2) 2024.12.31
Posted by retired
,

봄여름가을겨울 노래 듣다 보니, 트리뷰트 버전에 황정민이 부른 "남자의 노래"를 듣게 되었다. 황정민 노래 처음 들었다. 부작용이 있다. 자꾸 전또깡의 노래처럼 들린다.. 그야말로 전또깡 버전 "쿠데타의 노래" 느낌이다. (술 얘기만 자꾸 나온다.)

 

https://youtu.be/EYrmnghlHNU?si=cO6Xg7Rk2kNpLV8q

 

'잠시 생각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담도 적당히, "백골단"  (1) 2025.01.09
아디오스, 권순호..  (1) 2025.01.05
용산 유감..  (1) 2025.01.03
윤석열 체포되는 날..  (1) 2025.01.03
직무 정지 위반, 대통령..  (1) 2025.01.02
Posted by retired
,

용산 유감..

잠시 생각을 2025. 1. 3. 19:43

 

사교육걱정없는세상에서 토요일날 탄핵과 교육 관련 집담회를 한다고 급하게 연락이 왔다. 간다고 했다. 여기가 용산 대통령 집무실 코 앞이다. 차를 댈 수 있느냐고 물어보니까, 조금이기는 하지만, 댈 수는 있다고 한다. 여기가 용산 대통령실 코 앞이다. 게다가 같은 블록에 있다. 내가 아는 그 자리가 맞는지, 확인해보려고 했다. 하도 간만에 가는 거랑.

얼래? 다음 지도랑 네이버 지도에 대통령실 자리가 텅 비어 있다. 모르고 보면, 그냥 공원이거나 산인 줄 알 것 같다. 구글맵 보니까, 뜨문뜨문이지만, 대충 표시되어 있다. 이게 뭐 대단한 위치 정보라고, 국내 업체들 이렇게까지 꼭꼭 묶어놓고 있을 게 뭔가, 그런 생각이 들었다. 

청와대에는 아주 많이 갔었다. 오른 쪽 옆에 주차하는 데가 있는데, 여기가 아주 좁다. 예전에 프라이드 타던 시절, 여기서 벽에 긁어먹은 적이 있다. 주차하고 걸어가면 그렇게 멀지 않다. 그냥 정문으로 가서 표 바꾸고 들어가도 살벌하게 멀지는 않다. 용산 대통령실은 겨우겨우 들어가도 걸어갈 형편이 아니다. 셔틀 버스 타고 가게 되어 있다. 구중궁궐이라는 눈으로만보면, 용산이 훨씬 구중궁궐이다. 방문하는 입장에서, 겁나게 복잡하고 멀다. 게다가 사방이 군 시설이라서, 아주 분위기 지랄 맞다. 주차하라고 안내받은 데도 군 시설이라서, 내비에 안 나온다. 

어쨌든 대통령은 바뀐다. 이 참에 아예 세종시로 가서, 행정부 수반으로서 제대로 역할을 하던지, 청와대로 가던지, 그래야 할 것 같다. 용산은 영 아니다 싶다. 게다가 옆에 군시설만 잔뜩이라, 왔다갔다하면서 자주 보니까, 군인들하고 쓸 데 없는 정이 너무 드는 것 같다..

Posted by retired
,

윤석열 체포 영장 집행 중. 오늘 내란이 종식되게 된다. 21세기 들어와서 가장 중요한 하루다. 극우라고 하는데, 21세기 극우도 한국 극우 같지 않다. EU의 1당이 극우파 정당이고, 많은 나라에서도 1당이다. 집권당까지 되기는 쉽지 않지만, 주요 정당이다. 프랑스의 경우는 당내 민주주의는 어지간한 보수당 보다 훨씬 잘 되어 있다. 법도 다 지킨다. 이렇게 법도 안 지키고, 내력 세력 지지하는 그런 선진국 극우는 없다. 이 정도면 극우도 아니다. anachronism, 시대 착오를 의미하는 단어다. 

오늘 드디어 한국이 21세기로 넘어오는 날이다. 

Posted by retired
,

윤석열의 편지.. 여기에 "대통령 윤석열"이라고 명기되어 있다. 대국민 메시지, 이거 대통령 집무 정지 금기 아닌가? 그 전의 집무 정지 중인 대통령이 대통령실 직원들을 선동하거나, 심지어 대국민 메시지를 낸 적이 없다. 행정 명령 위반이라고 본다..

'잠시 생각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산 유감..  (1) 2025.01.03
윤석열 체포되는 날..  (1) 2025.01.03
헌재 재판관, 두 명 임명, 한 명 보류..  (1) 2024.12.31
윤석열 체포 영장..  (1) 2024.12.31
대통령 체포영장..  (0) 2024.12.30
Posted by retir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