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베리, 색이 들어가는 중이다. 내 삶에도 요렇게 고운 색이 들어가면 좋겠다.)
요즘 나는 늘 감사하며 산다…
50대 에세이는 나에게는 오래 기억될 책일 것 같다. 책을 쓰기 시작한 처음과 마무리지었을 때, 내 생각도 변했고, 나도 변했다.
세상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책으로 먹고 살고 싶어 하겠는가? 실제로는 전세계적으로 10 만명 될까 말까 할 것 같다. 우리나라에는? 추정은 쉽지 않다. 100 명이 넘는다는 설이 있고, 그렇게까지는 안된다는 설이 있다. 많이 잡아도 2~3백 명 내외일 것 같다.
그 안에 들어간다는 것은 고마운 일이고, 감사한 일이다. 더군다나 사회과학에서는… 그저 감사할 뿐이다. 동토의 왕국 같은 척박한 한국의 사회과학에서 책으로 먹고 살기에, 정말로 너무 많은 사람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말로는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로, 그저 감사드릴 뿐이다.
<국가의 사기> 쓰면서 그런 생각이 많이 들었다. 이제 나는 좀 더 멀고 긴 시간에 걸친 이야기들 그리고 남들 눈에는 잘 들어오지 않는 그런 얘기들을 좀 더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했다. 그게 나에게는 보람이기도 하고, 또 고마움에 대한 표시일 것 같기도 하다.
우리 시대의 과제는 무엇일까? 사실 지난 10년, 내가 쓴 많은 책들은 당장 눈 앞에 있던 문제들을 드러내고, 이건 좀 아니다, 그런 얘기들에 관한 것이었다. 세상은 긴박하게 돌아갔다. 그리고 그 한 가운데 내가 있었다.
지금은 좀 더 넓게 보면서, 정말로 필요한 것, “이거 아니다” 보다는 “이 쪽으로 가자”, 그런 얘기를 좀 더 해보려고 한다.
탈토건에 관한 얘기가 대표적이다. 민주당의 압승 이후 이 문제가 풀릴 것인가? 여전히 누군가는 다른 대안에 대해서 얘기를 해야 할 것 같다. 같은 이유로, 기본소득에 관한 얘기도 조금 더 해보려고 한다.
나중에 생각해보면, 50대 에세이가 급해서 글을 쓰던 시절에서, 좀 더 편안하고 긴 생각으로 글을 쓰던 시절로 나누게 되는 분기점이 될 것 같기도 하다. 조급하게 한다고 해서 덜 하는 것은 아니고, 폼 나는 일을 안 한다고 해서 무의미한 것은 아니다. 나는 좀 더 드러나지 않는 생산자의 위치로 가려고 한다. 중계, 평, 이런 것보다는 이론이든 방향이든 혹은 모델이든, 이런 것을 만드는 게 더 맞는 것 같다. 생산자, 프로듀서, 이런 세상으로 조금 더 가려고 한다. 화려하지는 않다. 그러나 결과물이 생겨나기는 한다.
50대 에세이를 마무리 짓고 나서, 확실히 내가 조금 바뀌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도 살면서 또 몇 번 더 바뀌게 될 것 같다. 그건 그 때 일이고… 지금은 이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