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른 분야는 모르겠는데, 한국에서 사회과학은 세 개의 허들을 넘는 것과 같다.

 

1번 허들. 이게 당신 문제예요

 

쉽게 애기하면 배달의 문제라고도 할 수 있다. 책이 필요한 사람에게 배달하기가 어렵다. 더 쉽게 배달할 수 있는 양식을 찾으면 안돼? 현재로서는 책 밖에 없다. 방송도 경제분야에는 심층취재나 다큐 같은 게 거의 없다. 사회 운동으로 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것도 여러 사람이 움직여야 하니까 깊이 들어가기가 어렵다.

 

2번 허들. 아냐 아냐 난 알고 싶지 않아.

 

이 문제는 짜장면의 칼로리가 어느 정도 되는지 알고 싶어하지 않는 것과 같다. 미세먼지 문제도 초기에는 같았다. 어차피 피할 수 없는 것, 알아봐야 일상이 더 피곤해지기만 한다.

 

3번 허들. 난 모를 것이니까 너도 알 필요 없어.

 

좀 더 적극적인 거부다. 그냥 자기만 모르는 것이 아니라, 어차피 필요 없으니까 주변에서 아는 것도 거부하는. 이런 골 아픈 일을 뭐 하러 해? 그게 딜레마다. 다른 방법이 없으니까.

 

1999년 벨기에에서 <로제타>라는 영화가 나온 적이 있었다. 비정규직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영화다. 그래서 로제타 법안이 나오고, 청년 의무할당제가 시행되었다.

 

 

이런 영화가 한국에 없는 것인지, 한국이 이런 사회가 아닌 것인지, 그건 잘 모르겠다. 어쨌든 다른 매체는 이런 고민을 해주지 않으니, 아직까지는 위태로운 3단 허들 뛰기를 하는 수밖에 없다.

 

2.

직장 민주주의라는 표현을 잡을 때 좀 고심을 했다. 비슷한 표현으로, 산업 민주주의가 있고, 작업장 민주주의가 있다. 그리고 한국 버전에서 직장 민주화라는 표현도 있다. 이런 걸 전체적으로 살펴봤는데, 우리 맥락에서는 직장 민주주의가 가장 나은 것 같았다.

 

그리고 금방 깨닫게 되었다

 

, 이게 배달의 문제1번 과제인 주제구나. 그리고 여기에 2번과 3, 나는 별로 알고 싶지 않아, 너도 그런 데 신경 쓰지 않았으면 좋겠어

 

이런 벽에 부딪혀 있다는.

 

이유는 여러 가지를 찾아볼 수 있는데된장, 확실한 것은 팬시와는 정반대, 문화적 트렌드와도 정반대에 서 있는 주제를 잡고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직장 민주주의에 대한 기이한 침묵이 우리나라에 있었던 것 같다.

 

한 가지, 흔히 말하면 잠재성즉 중요성은 높다.

 

중요하기는 한 건데, 별로 인기는 없을이론이론.

 

3.

사실 한 달 전에는 이미 쓰기 시작했어야 했는데, 그래도 주변 상황 좀 살펴보느라고 시간을 좀 더 썼다.

 

그리고 알게 된 것은, 직장 민주주의라는 개념이 인기가 없는 것은 그렇다 치더라도, 너무나 기이할 정도로 침묵이 오래 있었다는. 왜 그런지, 알 듯 모를 듯.

 

잠시 눈을 들어보면 허들이 세 개, 그것도 아주 높게 서 있다.

 

솔직한 마음이라면, 그냥 이거 안 하고 싶다. 좀 더 편안하게 지낼 수도 있는데

 

, 벌써 한다고 했는데. 주저주저.

 

사명감만 가지고 책을 쓸 수는 없다. 그렇게는 써지지 않기 때문이다. 뭔가 좀 다른 동력이 더 필요할 것 같기는 한데, 아직은 잘 모르겠다.

 

누군가 벨기에의 <로제타> 같은 영화를 만들어주거나, 아니면 거기에 비견할 만한 경제다큐 같은 거 만들어주면 좋겠다. 나는 그냥 좀 계속 쉬게

 

하여간 경제 얘기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많고, 경제 영웅들이 그렇게도 많은데 아직까지도 직장 민주주의가 사회적으로 본격적으로 논의되지 않았다는 이 기이한 상황을 아직도 잘 모르겠다. 보고도 믿기지가 않는다. “경제는 나한테 물어봐”, 그런 사람들이 우리 사회에 이렇게나 많은데그냥 그런 데서 이 문제는 우리 거야, 남의 나와바리에 들어오지 마”, 요런 얘기 해주면 좋겠다.

 

토깔 때에도 명분이 있어야

 

그런데 있을 것 같지가 않다.

 

Posted by retir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