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대응에 관해서 토론회를 하자고 연락이 왔다.

"코로나 아직 끝나지도 않았는데, 뭔 놈의 이후예요."

"그러니까, 그 얘기를 해주면 된다고."

낚였다 ㅠㅠ. 워낙 신세 많이졌던 선배라, 모른 척 하기도 그렇고.

코로나 1국면은 확실히 지났다. 코로나 무서워하는 사람은 이제 거의 없다, 특히 공직자 중에서는. 대놓고 코로나로 무슨 이득을 볼 건지, 그런 논의가 한가득이다.

일본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엇갈린다. 검사를 덜 한 것은 사실인 것 같은데, 아무리 아베가 이상하다고 하더라도 왕창 은폐하고.. 그런 건 아닌 것 같다. 하여간 일본은 이것저것 다시 열었고, 도쿄 확진자도 좀 증가하는 중이고. 그렇다라도 아직 20명 미만이라 대폭발, 그런 건 아직 아니고.

격리가 건국신화인 한국은 확실히 자가격리에 강한 것 같고, 일본은 개인위생이 강한 것 같다.

미국은.. 아무 것도 못 한다.

지금도 코로나는 2주만 확실히 막으면 세울 수 있다. 그런데 그게 어렵다.

될듯 말듯, 이렇게 내년 말까지 가늘고 긹게, 때로는 아주 굵게 가지 않겠나 싶다.

도대체 누가 학교 열었어? 결국에는 아무도 책임지지 않을 것이다.

이게 전세계적으로 '못난이 게임'처럼 되었다. 다 자기의 못난 모습들이 코로나 앞에서 먼저 튀어나온다. 그래서 누가누가 못 났나, 이런 컨테스트 양상인데. 덜 못난 놈이 다 먹어가는, 그런 양상이다.

지난 달에 예측을 하면서, 12월까지 백악관이 그 자리에 있을 수 있나, 청와대가 그 자리에 있을 수 있나, 그런 극한값을 설정한 적이 있다.

6월, 백악관은 아직 그 자리에 있는데, 그 사이에 집회 때문에 트럼프 일가는 벌써 지하 벙커에 한 번 들어갔다 나왔다는..

12월까지, 아직 시간이 멀다.

전세계적인 못난이 게임 진행 중..

한국은 홍남기가 못난 척, 1등 하나 싶었는데, 박능후가 확실하게 못난 걸로는 홍남기 보다 여러 급 위인 걸 보여주었다..

참, 인간 못 났다.. 그 와중에 연구소 하나 챙기는 게 대체 뭐라고.

'잠시 생각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무 큰 일이 벌어질 때는..  (0) 2020.06.07
친문과 반문 그리고 밑장빼기..  (4) 2020.06.06
원격 의료 국회 토론회..  (0) 2020.06.05
양아치 전성시대..  (1) 2020.06.05
내청과 외청의 시기..  (0) 2020.06.05
Posted by retired
,

'잠시 생각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문과 반문 그리고 밑장빼기..  (4) 2020.06.06
못난이 게임..  (4) 2020.06.05
양아치 전성시대..  (1) 2020.06.05
내청과 외청의 시기..  (0) 2020.06.05
기재부 전성 시대..  (0) 2020.06.04
Posted by retired
,

"박능후 파면", 요렇게 글을 쓰고 싶은데.. 그렇게 따지면, 지금 장관 중에서 살아남을 넘이 몇 넘이나 있나 싶다.

이놈도 문제고, 저놈도 문제고, 어랍쇼, 이런 양아치가 다?

정부는 민주 정부라는데, 장관들은 몇 명 빼면 정말 양아치 집합소다. 어디서 그런 이상한 사람들 찾아오라고 해도 찾기 어려운, 역대급 양아치들이 줄줄줄..

굼뱅이도 기는 재주가 있다.

하긴, 배워야 한다, 그런 건 좀. 평소에 조신하게 인사나 잘 하면서 기다리고 있다가 몸 값 제일 비쌀 때 잽싸게 줄 서는. 전광석화와 같다..

그런 거 잘 하는 사람들 전성시대다. 누가 일본식 처세술이 한 물 갔다고 했냐? 딱 일본 종합상사에서 승진하기 위해 60~70년대에 나오던 그 처세술 책이 딱 들어맞는 게 2020년 대한민국이다.

좀 지난 얘기인데.. 모 아저씨가 자기는 장관 안 한다고 멋지게 말싸말 하셔서, 모자란 사람인 줄 알았는데, 그래도 나름 지조는 있네, 했드랬다.

마침 그날 상갓집에 갈 일이 생겼는데..

핸드폰 잘 챙겨가서 산봉우리 정상에서 전화 딱 받으셔서, 뽀롱나셨더라는.

도그마의 시대는 가라, 시대정신 같은 어려운 얘기하는 시대는 끝났다, 계몽의 시대도 끝났다..

다 좋은데, 그러다 보니 소소하게 처세 잘 하는 양아치들 전성시대가.

근혜 때는 잡놈들이 살판 났었는데, 요즘은 양아치들이 살판 났다.

박능후만 양아치겠냐.. 거기도 하급이다. 더 상급 양아치들은 아무 일도 안 하고, 아무 일도 안 벌어져서, 놀면서 뒤에서 친구들 자리 나눠주고 있어도 티도 안 난다. 청와대에 국민청원 같은 거 올라갈 일 없다.

양아치에도 다 급이 있는 걸 요즘 알았다.

박능후는 하급 양아치다. 파면도 사치다. 더 상급 양아치들은 드러나지가 않는다. 햐, 정말 대단하다!

'잠시 생각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못난이 게임..  (4) 2020.06.05
원격 의료 국회 토론회..  (0) 2020.06.05
내청과 외청의 시기..  (0) 2020.06.05
기재부 전성 시대..  (0) 2020.06.04
기재부 개혁방안에 관하여..  (0) 2020.06.04
Posted by retired
,

거악이 사라지고 나니까 쪼만한 놈들이 내끄야, 내끄야, 소왕국들이 공화국 여기저기 생겨난다. 명박이 때는 블랙리스트나 열심히 만들고 꼼짝도 못 하던 것들이, 지꺼 챙긴다고 아주 난리다.

경제학에서는 이것을 rent seeking이라고 부른다. 자본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적으로 분류한다. 보수들도 이딴 짓은 싫어한다.

http://m.hani.co.kr/arti/politics/assembly/948072.html?fbclid=IwAR39ktz0uMxKEbeHA0LK8XFXpmIfQry8Aoo3w2v_oBb1svnaADgBXcSTQqs#cb

 

문 대통령 “질본 연구기관, 복지부 이관 전면 재검토”

연구기능 빠진 질본 ‘무늬만 승격’ 논란에 직접 지시

www.hani.co.kr

 

'잠시 생각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 의료 국회 토론회..  (0) 2020.06.05
양아치 전성시대..  (1) 2020.06.05
기재부 전성 시대..  (0) 2020.06.04
기재부 개혁방안에 관하여..  (0) 2020.06.04
애 보는 아빠가 할 일이 아닌..  (0) 2020.06.02
Posted by retired
,

기재부 개혁방안에 관한 글을 썼다. 오마이뉴스에 쓰는 글이 무슨 의미가 있겠냐마는.. 생각 보다는 많이 보는 것 같다. 그리고 높은 사람들이 의외로 많이 보는 듯 싶다.

정부 근처에 있는 사람들이 하는 말이.. 청와대에는 찍혀도되는데, 지재부에는 찍히면 큰 일 난다는 말이. 청와대는 비서관들이 계속 바뀌고, 바뀌면 이전 일은 그만인데. 기재부는 집단이라, 잊어버리는 일은 없다고.

예전에는 예산 같은 일들을 총리실 산하의 기획예산처에서 했다. 명박 이후 지금은 기재부가 그 일을 다 한다. 그러니까 평소에 몸조심 하는 수밖에 없다. 공무원의 보복은 공공부문 내에서는 처절하다.

많은 분야가 그렇지만, 환경 분야에서도 유독 정부에 한 자리 잘 하는 그룹들이 있다. 얼마 전에 농담하고 놀다가 applied greens라는 표현을 썼다. 응용 녹색.. 사람들이 웃다가 뒤집어졌다. apply에는 응용이라는 의미도 있고, 채용이라는 의미도 있고.

참여연대를 초기에는 관심연대라고 부른 적이 있었다. 온갖 사회 돌아가는 일에 다 성명서를 내서. 21세기 들어와서는 고발연대라는 말도 있었다. 고발을 워낙 많이 해서..

여기도 applied 참여라는 말 생길 지경이다. 뭐, 참여연대만 그렇겠냐. 응용능력으로 치면 복지 분야도 만만치 않고. 학교급식운동이 전면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복지 전문가로 응용 능력을 혁혁하게 보여준.

많은 사람들이 apply, 응용능력을 보여주면서, 기재부의 힘이 더 세졌다. mb 때 블랙 리스트 보다 사실 더 강력할지도 모른다. 참여와 응용이 너무 보편화되어서..

시민단체나 운동하던 사람들이 정부에 참여하는 거, 나도 권장한다. 누군가 물어보면 특별한 경우 아니면 다 가라고 한다. 나서서 빈 자리를 좀 찾아주거나, 추천하는 경우도 종종 있고.

한 자리 가는 건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맹활약하던 인사들이 정부 안에 들어가면 입을 꼭 다무는 거.. 요건 좀 그렇다.

이상한 일 있을 때, 니가 좀 한 마디 좀 해라, 그러면 "형이 세상 물정을 몰라", 염병, 나를 완전 한물 간 늙탱이 취급한다. 한물 간 건 맞는데, 아직 늙탱이까지는 아닌데, 이것들이..

기재부가 무서워서 그렇다. 공기업이나 정부기관에 대해서 기재부가 가지고 있는 기관 평가 권한이 정말 힘이 세기는 하다.

대충 차관급 비슷한 거 한 번 하고 나면 대개의 사람들은 선민 의식 쩌는 인간으로 재탄생한다. '클라스'가 변한다. 뭐, 내가 제일 좋아하던 클라스는 이태원 클라스였는데.. 이태원 클럽으로 맛 간 다음에는 역시 뭐니뭐니해도 정부미가 최고야, 이런 분위기다.

기재부 장관은 경제 부총리다. 여기다 대고 한 마디 하면 문재인 정부에서 살아가기 어려워진다..

이게 현실이라는 걸 인정하는 게, 참.. 인정은 하는데, 지랄 맞기는 엄청 지랄 맞다.

Posted by retired
,
Posted by retired
,

오래된 선배랑 아침부터 통화를 길게..

"햐, 너는 그렇게 골 아픈 이슈를 맡아서 그렇게 힘들게 사냐."

"죽겠슈, 애 보는 아빠가 할 일이 아닌."

"그래도 여론은 얼핏 보니까 비슷비슷하게 간다. 잘 끌고 가는 거야."

혹시라도 대선 후보들 중에서 의견 있는 사람이 있을까, 아침부터 실무진에게 전화를 돌려봤는데.. 뭐, 혹시라도 불통 튈까봐 다들 몸조심하는 분위기.

별 방법은 없다.

예전에 이럴 때 의견 내던 사람들이 대부분 정부 무슨 위원회 위원장이거나 아니면 그 비스무레한 데로 들어가서, "너만 믿는다", 이러구들 계신다. 역전의 용사들이시라는데, 세월 앞에 장사 없고, 목구청이 포도청이라.

이것도 몇 달 하다 보니까, 누구랑 싸우는지, 누가 이러고 있는 건진, 대충은 알게 되었다.

박근혜 때는 누구랑 싸우는지도 모르고 싸웠다. 지나보니까, 오매, 순실이? 이건 또 누구야? 순실이가 하던 일을 대신 맡아서 진행하는 이 시대. 햐, 한심 맞다.

이건 문고리도 아니고, 아주 독특하다. 버전업된 문고리야, 업그레이든 출장소야? 한 때 한국은행이 황당한 짓 할 때 기재부 남산 출장소라고, 권력 내에서도 서로들 견제도 좀 하고 그랬다. 문고리도 아니고, 출장소도 아니고, 아주 독특하다. 박정희 시절처럼 '2인자' 현상도 아니고.

허문도는 그래도 머리라도 잘 돌아가는 사람이고, 나름 정권 실세이기는 했었던 것 같은데. 방송을 허문도가 쥐고 흔들던 시절 생각하면, 지금은 허문도 현상도 아니다.

순실이랑 싸우던 때가 차라리 낫다는 생각이 문득. 그래도 순실이는 이렇게 막무가내까지는 아니었던 것 같은. 행정을 잘 몰랐으니까..

하여간 내일, 글 하나 더 쓰기로 했다. 조금만 더 가볼까 싶은..

Posted by retired
,

코로나 이후로 뭐가 많이 변한다고들 하는데..

한국 자본주의의 안 좋은 성격들은 하나도 변하지 않는 것 같다. 보통은 '국가독점자본주의'라고 불렀던.

그리고 그 국가 독점 과정은 모피아라고 일상적으로 부르던 경제 관료들이 즈그들 맘대로 하고.

코로나라는 긴급 사태로 모피아들의 전횡은 더욱 강해지고.

이걸 변했다고 해도 좋은 것일까?

Posted by retired
,

정부가 뭘 하면, 그게 맞든 틀리든, 그냥 정부가 하는 일이니까 오죽 알아서 잘 했겠냐.. 박정희부터 전두환까지, 이렇게 한국을 통치했다.

집권 하반기 문재인 정부, 홍남기가 추진하는 코로나 대책이 딱 그 모습이다.

'깨어있는 시민', 이 표현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싫어하는 사람도 있을 것 같다. 나는 좋아한다.

홍남기 질주하는 이 시기, 다시 이 말이 생각난다. '깨어있는 시민', 그런 게 이 시기에 있는 건지, 잘 모르겠다.

죽어라고 사법 개혁만 하면 이 나라가 좋아지나? 경제 공무원들이 나라의 기반부터 온통 틀어쥐고 말아먹는 동안, 사법 개혁만 하면 좋아지나?

나는 도통 모르겠다. 박정희 서거하셨다고 라디오 듣자마자 아침 출근 길에 눈물 흘리던 초등학교 시절 우리 어머니 모습이 기억난다.

그때랑 지금이랑, 뭐가 바뀐 건지 모르겠다..

Posted by retired
,

미국은 정말 총체적 난국이 되었다. 미국 자본주의를 버텨오던 힘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다시 한 번 질문해보게 된다.

한쪽에서는 거의 민란 수준이고, 코로나 대응은 꽝이고.. 주지사들은 속수 무책, 대통령은 무대뽀 무대책, 이런 삶이 과연 자본주의의 꽃이라 할 수 있는가, 그런 생각이 든다.

전세계인의 동경을 받던 미국식 삶이 과연 2020년 이후에도 이어질 수 있을지, 의심스러운 순간이다.

제국의 붕괴, 그 한 단면을 보는 듯 싶다.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947281.html?_fr=mt1&fbclid=IwAR3EDuMW_emODVwTqVavpFZ8b7UJEi7Sv5zNSTSb-A2mhg4nwy5xEqwJZbM

 

흑인 사망에 성난 민심 “인종차별 미국, 우리가 바꾸자”

‘흑인 사망’ 항의시위 르포미 전역 30여 도시로 시위 번져“흑인은 2류 시민” 절망과 분노경찰과 충돌하고 약탈·방화도트럼프 “폭력 용납 못해” 강경

www.hani.co.kr

 

Posted by retir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