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이 '우한 폐렴' 혹은 '우한 바이러스'라는 표현을 아직도 쓰는 사람들이 있다. 이해는 간다. 주로 보수 쪽이고, 태극기 계열인 가능성이 많은 것 같다. 

그럴 때마다 그런 말 쓰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게 말하지는 않는다. 

태극기에 뿌리를 둔 한국의 보수가 지금 제일 급한 것은 대중적인 혐오감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진보에게도 그런 고착된 대중적 혐오와 관련된 이미지들이 있기는 했다. 대표적으로 민주노총이 애용하던 빨간 조끼. 민주노총 행사에 대학생들을 좀 데리고 갔더니, 조끼 보자마자 부들부들 떨던.. 걔들도 나름 운동권들이기는 했는데, 막상 성인들 노조 행사에서 빨간색 조끼를 보자마자. 

생태계열에게도 자기들은 좋다고 하는데, 사람들은 싫어하는 이미지가 대표적으로 꽁지머리에 개량 한복. 나도 계량한복 입어볼까 했는데, 주변 사람들이 강력하게 뜯어말려서 놀랐던 적이. 

더 멋있어 보이지는 않더라도, 굳이 혐오감을 주면서까지 대중적 활동을 하는 건 좀 그렇다. 

예전에 보수 신문의 젊은 여기자가 우리 집에 전화를 한 적이 있었는데, 아내가 받았다. 목소리가 바들바들, 불쌍했다고 한다. 한국의 대표적인 극좌파 집에 전화를 건다고 생각을 한 건지, 바짝 쫄았던 것 같다. 

내가 아무 것도 안 했어도, 나와 만나는 사람들은 왕창 쫄거나 그랬던 적이 있었다. 좌파 중의 좌파, 스스럼 없이 공산주의자라는 말도 하고, "빨갱이라서 그래요", 이런다. 

사람들이 너무 무서워하거나 불편해서, '명랑'을 대표 간판으로 내걸기도 하고 나도 별의별 짓을 다 했다. 요즘은 '찌그러진 맛'을 건다. 날도 무디게 하고, 주장도 약하게 하고. 그래도 여전히 나는 한국에서 가장 극단에 있는 몇 명 중 한 명이다. 

코로나 19라는 공식 명칭이 불편할 수는 있어도 이게 글로벌 스탠다드다. 최근에 미국에 유입된 장수말벌을 '아시아 살인 말벌'이라고 부르는 것 때문에 한참 논쟁이 벌어지는 중이다. 피차 마찬가지다. 되도록이면 중립적이고 인종주의적인 편견을 갖지 않기 위해서 서로 노력하는 중이다. 

반중 혹은 중국 혐오, 정치적 의미는 알겠지만, 그런 의미를 담아 '우한 바이러스'라는 말을 쓰면 쓸수록, 보수에 대한 대중적 혐오는 더 강해진다. 언어가 그런 것이다. 정치적 메시지는 기본적으로 일종의 혐오재다. 우리 편이든 아니든, 피곤한 얘기를 하는 거다. 그런데 혐오까지 붙으면, 그런 사람의 말을 안 듣는 것은 물론이고, 점점 더 고립된다. 

되도로이면 부드럽게 하고, 유머를 곁들이고, 조금이라도 완화시키는 것은 정치적인 메시지를 담고자 하는 사람이 피할 수 없는 운명이다. 그게 21세기 방식이다. 

20대와 대화하기, 나도 너무 힘들다. 조금이라도 강하게 얘기하면 "가르치려고 한다", 태도의 문제를 들고 나온다.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하는 경우에라도, 그건 그게 아니라, 이렇게 말 할 수가 없다. 일단 후퇴.. 그럴 수밖에 없다. 너무너무 힘들다. 

힘들지만, 어쩔 거냐, 대화의 문법이 그런 시대를 살고 있는데 말이다. 

'동지'라는 말이 대표적 운동권 사투리다. 좋은 말이고, 좋은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일반인은 안 쓰는 말이다. "다시는 너와는 대화하고 싶지 않다", 이런 의미로 상대방은 받아들인다. 어쩔 수 없이, 자주 쓸 수가 없다. 

우한 바이러스는 '동지'를 넘어 거의 '동무'급 단어가 되었다. 답답하고 억울하겠지만, 어쩌겠느냐.. 우리가 그런 시대를 살고 있는 것을. 

나야 한국의 보수들이 그렇게 더욱 더 혐오스러운 패션과 어법 안으로 들어가는 게, 사실 반가운 사람이다. 더욱 더 경쟁이 쉬워지니까.. 

좌파가 고립되지 않기 위해서, 운동권 사투리도 내려놓고, 속으로는 기분 안 좋아도 파안대소하려고 노력하는 동안, 한국의 보수들은 '우한 바이러스'와 함께 가지 않아야 하는 길로 걸어 들어가는 것 같다.  안스럽다. 

Posted by retired
,

스스로 비주류가 된 보수.. 

공교로운 얘기지만, 김정은 사망설과 함께 보수의 무능함이 극한에 도달한 것 같은. 

김정은 싫은 것도 알겠고, 정부 싫은 것도 알겠는데. 그렇다고 뉴스 제대로 읽고, 사실을 좀 파악하는 능력이 이렇게나 없다는 것을 만천하에 알릴 필요까지 있겠나 싶다. 

"이미 죽었다", 이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던지. 

문화적이고 정서적으로 폐쇄적인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뉴스도 제대로 못 보면서 정권을 되찾겠다는 것은 좀 이해하기 어렵다. 

시대는 뒤로 가지 않는다. 민주당이 썩 잘 한다고 말하고 싶은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보수는 그만도 못 한다는 것을 보여주기가 어렵다. 뉴스도 제대로 못 보면서 뭘 하겠다고 하는 건지..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5011702005&code=910100&fbclid=IwAR38xp-YrVO9j9hZ6BTZ_O615CP-o4gq4DAx4nFODW8QKZMpv4PFHoKhAQY

 

[박성민의 정치 인사이드]보수의 ‘정치적 폐색’, 스스로를 비주류로 유폐하다

이 글은 <정치 인사이드>의 에필로그다. 2018년 1월2일에 기고한 ‘한국의 주인이 바뀌고 있다’는 칼...

news.khan.co.kr

 

Posted by retired
,

코로나와 재난 자본주의(disaster capitalism)에 대해서 글을 쓰려고 한다. 생각해보니까 나오미 클라인이 여기에 대해서 뭐라고 했을 법해서 찾아봤더니, 역시 최근 인터뷰가 있다.

https://www.vice.com/en_us/article/5dmqyk/naomi-klein-interview-on-coronavirus-and-disaster-capitalism-shock-doctrine?fbclid=IwAR2ArESQLY3SpNcFdqw5BgeFalRiuV0l6mGAg3uRXnP__8X4Iqf3lm2N3Qo

 

Coronavirus Is the Perfect Disaster for ‘Disaster Capitalism’

Naomi Klein explains how governments and the global elite will exploit a pandemic.

www.vice.com

 

Posted by retired
,

말은 반 농담 삼아 '한국형 재난 자본주의'라고는 했지만, 설마 이렇게 금방 그 본색이, 이렇게도 슬픈 형태로 드러날지는 몰랐다.

외환은행 매각과 합병 과정을, 정말 그 모습 그대로 이렇게 다시 볼 줄은 몰랐다. 그것도 재난 기본소득에 대한 추경안과 패키지로 묶어서..

재난이 오면 자기들 하고 싶은 거 그냥 한다는 게 재난 자본주의의 의미다.. 몇 달 전에 부결된 법안이 이렇게 그대로 다시 살아난다는 것도 놀랍고, 40조 원에 대한 용처에 대해서 제대로 토론도 안 해보고 통과되는 것도 놀랍고.

 

 

http://www.seoulwire.com/news/articleView.html?idxno=409950&fbclid=IwAR29GgpVlTfZm0muvjS-BUjRFFW9VHmfYkBlHVYqsPQwKkPX4XojjNzBUgE

 

인터넷은행법·산업은행법, 법사위 전체회의 통과 - 서울와이어

[서울와이어 김상준 기자]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29일 전체회의를 열고 인터넷전문은행 설립 및 운영에 관한 특례법(인터넷은행법) 개정안과 한국산업은행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이번 인터넷

www.seoulwire.com

 

Posted by retired
,
Posted by retired
,

다음주 월요일날 경향 신문 칼럼 차례다. 나도 좀 만담도 하고, 한가한 얘기도 할까 싶은데..

노무현 정부 때부터, 맨날 정부랑 쌈박질만 해서, 이번 정부 때는 좀 내려놓고 쉴 생각이었다. 어지간히 알아서들 하겠지..

코로나 이후로 정부가 하는 경제 대책이라는 게, 우와.. 황당하다.

'한국형 뉴딜'이라고 이헌재가 쓰던 개념을 그냥 가지고 와서, 별 거 없을 거다 싶어는데..

별 거 없는 정도가 아니라 '한국형 재난 자본주의'라고 이름을 붙여도 무방할 정도로 황당하다.

쓰려고 했던 걸 미루고 이 얘기를 써야 하나, 아니면 모른 척하고 눈 그냥 꾹 감을까, 고난의 시간이다.

나도 좀 친정부로 살아보고 싶은데.. 세상이 그렇게 안 돌아간다.

대한항공 건도 황당하고, 재난 자본주의는 더 황당하다.

대통령의 힘은 넘치도록 넘치는데, 그 힘을 받아서 경제 관료들은 더 황당한 짓들을 맘대로 한다.

나도 좀 그냥 편안하게 쉬엄쉬엄 그렇게 살고 싶은데.. 그냥 못 본 척하고 싶다.

'잠시 생각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형 재난 자본주의의 현장..  (0) 2020.04.29
보건의료단체연합 성명서  (0) 2020.04.29
굽고 싶은 거리..  (0) 2020.04.27
박원순의 공사병..  (1) 2020.04.26
사과꽃..  (0) 2020.04.26
Posted by retired
,

홍대앞에 '걷고 싶은 거리' 조성한다고 할 때 했던 논쟁들이 생각난다. 그 때 나온 말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이 '걷고 싶은 거리' 한다고 막 손대고 나면 결국 '굽고 싶은 거리'가 된다.. 도시공학상으로 그렇댄다.

실제로 그 자리는 결국 굽고 싶은 거리가 되었다.

걷고 싶은 거리가 오세훈 때 더 커져서 걷고 싶은 도시가 되었다. 토건의 진화된 형태다.

일반적인 부작용은 두 가지다.

도로를 줄이면 결국 도로를 지하로 넣자는 얘기가 늘어나게 된다. 도로랑 주차장이랑, 다 지하로 넣기 전에, 걷고 싶은 거리라는 명분으로 길을 줄이고, 막는 일을 한다.

강남은 마이스 한다고 그러면서 이미 지하도시 계획이 다 섰다. 시내만 겨우겨우 막고 있는 거다.

지하도시 등 더 큰 토건으로 연결되지 않고 잘 되면, 이제는 젠트리피케이션이 몇 년 후에 오게 된다. 그걸 막으려면 결국은 굽고 싶은 도시로.

이런 근본적인 얘기를 다 떠나서, 이게 꼭 코로나 바이러스로 정신 하나도 없는 국면에서 서울시가 해야 할 얘기인가 싶다.

시민들은 죽어라고 정책에 협조하는데..

토건족들은 똥개야 짖어라, 우리는 진도 나간다, 이러고 있는 거 아닌가.

'잠시 생각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의료단체연합 성명서  (0) 2020.04.29
한국형 재난 자본주의, 우와..  (1) 2020.04.28
박원순의 공사병..  (1) 2020.04.26
사과꽃..  (0) 2020.04.26
별 이상한 소리를 다..  (0) 2020.04.26
Posted by retired
,

박원순도 요즘 공사 엄청 좋아한다. 광화문 광장 다시 고친다고 하다가, 여론에 밀려서 못 하게 되니까, 일단 나머지 공사라도 먼저. 조금씩 고치고, 정비하면서 살아도 되는데, '랜드마크' 너무 좋아한다.

이재명과 비교해서 좀 미안하기는 한데, 이재명이 언제 경기도 엄청 뜯어고쳐서 무슨 랜드마크 한다고 하는가 싶다.

박원순이 대통령 되고 싶으면, 서울 시장 3선하면서 생겨난 공사하는 버릇부터 좀 내려놓아야.. 공무원을 바꾼다고 하더니, 서울시 공무원은 바뀐 게 스트레스 늘고 자살 늘어난 것 밖에 없는 듯 싶다. 그 대신 박원순이 바뀐 거 같다.

참여연대 시절에는 안 그러던 사람이, 시장 되고 나서 랜드마크병이랑 관광병에 단단히 걸린 듯한..

정말로 대통령 하고 싶으면, 서울시에서 공무원들한테 옮아온 이런 공사병부터 좀 내려놓는 게 좋을 듯 싶다.

보다보다, 안 되었다.. 코로나로 사람들 정신 하나도 없는 이 마당에 랜드마크 꺼내들고, 제 정신인가 싶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4261127001&code=940100&fbclid=IwAR3o90Y_eDeZ5eSJBWdK8HI2iQi-EEY2mYN6l6L2jzkuNriRODnNBxYy8N4

 

세종대로 차로 축소…보행자중심 랜드마크 만든다

서울시가 1.5㎞ 길이의 세종대로 차로를 축소해 보행도로를 조성한다고 26일 밝혔다. 확보된 공간에는 보행...

news.khan.co.kr

 

'잠시 생각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형 재난 자본주의, 우와..  (1) 2020.04.28
굽고 싶은 거리..  (0) 2020.04.27
사과꽃..  (0) 2020.04.26
별 이상한 소리를 다..  (0) 2020.04.26
프로야구 144경기, 말도 안 된다..  (1) 2020.04.22
Posted by retired
,

사과꽃..

잠시 생각을 2020. 4. 26. 20:30

바이러스 때문에 난리가 난 와중에도 올해도 어김 없이 사과꽃의 계절이 왔다.

연초에 세운 계획은 이것저것 대충 엉망이 되었다. 미국에도 좀 가보고, 도서관 얘기도 본격적으로 정리해볼까 싶었는데.. 일단 다 연기.

바이러스 이후로 삶이 개판이 된 사람이 한국에서 수백만 명은 될 것 같다. 이 상황에 계획은 무슨 계획인가 싶다.

그래도 사과꽃이 피는 걸 보면서, 또 시간이 가는 걸 느낀다.

'잠시 생각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굽고 싶은 거리..  (0) 2020.04.27
박원순의 공사병..  (1) 2020.04.26
별 이상한 소리를 다..  (0) 2020.04.26
프로야구 144경기, 말도 안 된다..  (1) 2020.04.22
전부 줄 거냐, 70%만 줄 거냐?  (1) 2020.04.22
Posted by retired
,

보다보다, 별 이상한 소리를 다 듣겠다.

"코로나19 타격에 대한 지원은 대상이 개인이든 기업이든 조건 없이 이뤄져야 한다."

이게 대한항공이 자기네 쪽 전문가 내세워서 할 소리는 아닌 것 같다. 고마운 마음 없고, 고깝기만 하다면, 뭐하러 정부가 나서서 도와줄 필요가 있나 싶다..

97년 IMF 이후로 수없는 기업들이 정부에게 지원받는 걸 지켜보았는데, 이렇게 고자세로 "그냥 줘라", 이렇게 배 내미는 기업은 대한항공에서 처음 본 것 같다. 황당스럽다..

 

 

https://news.v.daum.net/v/20200426155930232

 

1.2조 수혈에도..대한항공에 고조되는 긴장감

급한 불은 껐지만 긴장감은 여전하다. 대한항공에 상반기 중 1조2000억원이 수혈된다. 회사는 일단 '치명적 유동성 위기'는 넘길 수 있게 됐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중장거리 노선 대상국들의 시장 위축은 이제 시작이다. 2차 유동성 위기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자금 지원으로 정부는 20% 이상의 대한항공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 이익공유 등 조건부 지원 꼬리표

news.v.daum.net

 

'잠시 생각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원순의 공사병..  (1) 2020.04.26
사과꽃..  (0) 2020.04.26
프로야구 144경기, 말도 안 된다..  (1) 2020.04.22
전부 줄 거냐, 70%만 줄 거냐?  (1) 2020.04.22
모피아 전성시대..  (0) 2020.04.21
Posted by retir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