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ke 방송후기 13. 층간소음편

 

오늘 주제는 층간 소음이다. 70% 가까운 국민이 아파트와 빌라 등 공동주택에 살고 있으니, 여기에서 해방된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해도 좋을 듯싶다. 귀농하면 이 문제에서 해결될까? 지리산 마을에 가도 정말로 계곡에 혼자 있는 집 아니면 마을에 따닥따닥 붙어 있어서, 주민들 사이의 소음 문제는 사라지지 않는다.

 

아마 이 문제를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다루지 않았나 싶은 차상곤 주거문화개선연구소 소장과 양소영 변호사가 키맨으로 나왔다. 공학적 접근과 법률적 접근, 뭐 이렇게 구성된 셈이다.

 

 

(양소영 변호사, 세 아이의 엄마이다. 요즘 방송에서 가장 환영받는 사람 중의 한 명으로 알고 있다. 과연 말이 깔끔하고, 핵심이 정확하다.)

 

층간 소음의 원인과 해법은 비교적 단순하다. 수 년 전부터 건축비 절감으로 시공사들이 선호하는 공법이 소음에는 쥐약이다. 그러니 그렇게 하지 말라고 표준 권고안을 만들고, 그렇게 되지 않은 아파트에 대해서는 적절한 선에서 보강공사를 하도록 하면 된다.

 

건설사, 나빠요!”

 

요 간단한 입장 하나로 정리가 될 수는 있다. 그러나 그렇게 허무하게 얘기를 끌고 가고 싶지는 않았다. 기술과 경제만으로 모든 것을 설명하는 것은 손쉽기는 하나, 늘 그렇게만 해서는 안된다는 게 내 상식이다. 유럽의 경우, 정말 오래된 건물들의 층간소음은 황당할 정도이다. 그렇지만 그 상태에서 집을 고쳐가면서 또 다들 살아간다. 서로 적절한 선에서 양보하고 또 관용하는 것, 그야말로 공자님 말씀 같은 얘기지만, 이렇게들 살아가고 있다. 우리가 갈 방향도 그 쪽이 아닌가 싶다.

 

 

(차상곤 소장, 상당히 심지가 깊은 사람이다. , 어지간히 꼬셔도 나중에 곤란하게 될 얘기는 하지 않는다. 그것도 일종의 개성이다.)

 

주간에는 40데시벨, 야간에는 30데시벨로 최근에 법적 기준이 명확해졌다. 그렇지만 법률적 도움은 쉽지 않다는 게 양소정 변호사의 얘기이다. 인과를 밝히기가 쉽지 않고, 밝히더라도 피해의 규모를 산정하기가 쉽지 않다. , 현재로서는 그렇다는 얘기지만, 환경 문제에서 아주 유명했던 공항에서의 소음 문제도 초기에는 그랬었다. 지금은 기준이 훨씬 강화되었고, 보상 방안도 훨씬 단순해졌다.

 

내가 종합적으로 느낀 건, 제일 좋은 건 이사가자 마자 떡 돌리는 것. 인사와 함께 모든 것들이 제대로 돌아갈 수 있는 준비를 하게 된다. 사실 살면서, ‘인사감사’, 이 두 가지만 잘 해도 많은 것들이 풀린다. 기업도 마찬가지이고, 국가도 마찬가지이다. 박근헤 정부도 인사를 제대로 못해서 지금 완전히 헤매고 있는 것 아닌가?

 

떡 돌릴 기회를 놓쳤다면, 자신이 직접 가서 얼굴 붉히거나 되도 않는 복수전을 벌이기 보다는 이웃사이센터라는 중재기관의 도움을 받는 게 나을 것 같다. 대뜸 기관을 중간에 끼는 게 맞느냐는 생각도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그게 더 나은 해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역시 그 전에, 떡이라도 좀 돌리고, 명절 때 귤이라도 사들고 가는. 어차피 이것도 다 사람의 일이다.

 

(take 제작진, 모니터링 회의 중.)

매일 방송이 끝나면 모니터링 회의를 한다. 분위기는, 약간 좀 심각하다. 눈물을 쏙 뽑을 정도는 아니더라도, 고성 정도는 오간다. 아직 멱살 잡는 건 못 봤지만, 얼굴 붉히고 고개 푹 숙이는 건 자주 보게 된다. 생방송이라는 게 갖는 긴장감이 있어서, 방송 끝나자마자 하는 모니터링 회의는 좀 심각한 편이다. ‘전파낭비라는 얘기가 나온 적도 있는데, 이건 케이블이라서 전파 낭비까지는 아니라는 얘기가 입 밖에까지 나올 뻔하다가 분위기 보면서 참은 적이 있다 

 

 

 

Posted by retir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