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경제학은 10대 네 명에게 보내는 편지 글 형식이다. 중학교 2학년과 봄부터 겨울까지, 텃밭을 같이 하면서 보내는 편지다. 오늘 본문에 해당하는 마지막 편지글을 썼다. 물론 가상의 상황이기는 하지만, 쓰면서도 마음이 짠하다. 모든 이별은 다 짠하다.
그 뒤의 상황을 짧게 개인들에게 한 통씩 마무리 편지를 쓰는 에필로그 형식으로 할지, 아니면 정말 짧게 후일담을 후루룩 지나가면서 스케치하는 형식으로 할지, 아직 마음을 못 정했다. 양쪽이 다 장단점이 있다.
처음 관련된 파일 만든 날짜를 보니까 작년 11월이다. 중간에 다른 일들이 있어서 좀 끊기면서 하기는 했는데, 이것도 6개월이 넘어 걸렸다. 애들 보면서 하니까 확실히 예전보다 최종 마무리하는 시간이 훨씬 더 많이 걸린다. 어쩔 수 없다.
안 팔리는 책을 뭐하러 쓰느냐고 하는 선배들이 있다. 안 팔릴 거 알아도 최선을 다 해서 하는 일들이 세상에는 있는 법이다. 그냥 돈 벌면서 살려고 하면 아주 쉽게쉽게 가는 방법들이 있기는 하다. 그렇지만 나중에 후회될 것 같다.
한국에서 농업 경제학 가지고 만 부 가면, 정말 신이다. 냉정하게는 2천 부 넘기 어렵다. 그걸 뭐하러 해? 그래도 죽어라고 우겨넣고, 털어넣고, 정말 뼈골을 갈아넣는다 싶게..
학생운동 시절부터 치면, 이래저래 한국에서 시민운동이나 민중운동 했던 또래 중에서는 친구 아닌 사람이 없을 정도로.. 강기갑 한참 활동하던 시절에는 그와 농업 얘기를 많이 했었다. 단병호와 도법 스님을 만나게 해드렸는데, 단병호가 스님은 무섭다고..
한살림의 윤형근과 단짝으로 지내던 시절도 있었는데, 한동안 연락을 못했다. 농업 경제학 하면서 이것저것 물어보느라고 다시 만나게 된.
어쨌든 민주주의 운동이든, 시민단체 운동이든, 하여간 수많은 활동가 중에서.. 농업 얘기 하는 사람을 최근에 거의 본 적이 없다. 정말로 없다. 신정훈과 나중에 춘천 시장 된 이재수가 마지막으로 농업 정책 조율하던 파트너들이었는데.. 그들도 지금은 농업에 별로 신경 쓰지는 않는 것 같다. 다들 포기하고 떠나거나, 아니면 좀 더 재밌는 일들을 찾아 나선.
농활 없어진지 오래인 것 같다. 다들 농활들은 했던 것 같은데..
다 떠난 농활에 혼자 남아있는 느낌이다. 그것도 중학교 학생들과.. 어쨌든 내년까지는 나는 10대의 눈으로 세상을 보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생각이다.
에필로그 형식은 며칠 더 생각해보려고 한다. 사실 형식이 중요한 게 아니라, 어느 정도까지 쎄게 할 것인가, 수위 조절을 아직 다 못해서 그렇다. 뭐, 어느 쪽이든 선택을 해야 한다. 네 명 중에 한 명은 농업계 고등학교로 진학을 하기로 했는데.. 이걸 어떻게 받아들이게 될지, 그 후폭풍에 대한 가늠이 아직 잘 안되어서..
자기 자식이 농사 짓겠다고 하면 좋아할 집이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될까? 게임중독과 농업 중 선택하라면? 사실 잘 모르겠다. 어느 쪽이든 6개월 넘게 고민을 했는데, 이제는 선택을 해야 하는 순간이다. 일반적으로는 민감할 수록 나은데, 그 민감이 도를 넘으면 과도한 거부반응이 나오게 된다. 그 중간을 선택하기가 어렵다.
'남들은 모르지.. > 농업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 경제학, 마지막 작 끝내기 직전에.. (2) | 2020.06.24 |
---|---|
농업 경제학, 마지막 장 설계.. (3) | 2020.06.23 |
농업 경제학, 마지막 글 시작하면서.. (1) | 2020.06.18 |
지영희의 해금 산조를 소개합니다.. (1) | 2020.06.05 |
농업 경제학, 클라이막스를 지나며.. (1) | 2020.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