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을 갈아넣는다는 표현이 있다. 농업 경제학이 딱 그렇다. 쓸 수 있는 재주는 다 쓰고, 영혼까지도 갈아넣는 중이다.
오전에 지난 해까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장 했던 김창길 박사랑 차 한 잔 했다. 통화는 여러번 했는데, 실제로 본 게 10년도 넘는다. 명박 시대, 근혜 시대, 정부 기관에서 일하는 사람들과 되도록이면 만나지 않으려고 했다. 그 시절, 나랑 만나봐야 좋을 일 생길 게 없었다. 오랫 동안 반정부 인사로 살았다. 힘든 시절을 그냥 버티고 버텼다.
최근에 예전에 농업과 관련해서 일하던 사람들과 시간 나는 대로 차 한 잔씩이라도 하려고 한다. 한 때 농지제도 연석회의라는 시민단체 연대회의에서 사무국장을 했었다. 건강이 정말 안 좋아져서 후반부에도 제대로 움직이지는 못했지만, 전농 등 그 시절에 농업 관련된 했던 사람들이 대부분 파트너였던 시절이 내게도 있었다. 뭐라도 좀 줏어들으면 약간이라도 나아지겠지, 그런 심정이다. 차 한 잔 할 시간도 애들 키우는 입장에서는 편치 않지만, 그래도 이게 자료에 나오지 않는 최근의 흐름을 업데이트 하는 가장 빠른 방식이다. 원래는 전문가 인터뷰들 다 마치고 글을 시작하는 게 맞지만, 이런저런 사정으로 그렇게 하지는 못했다. 후반부에 나오는 결말을 위해서 지금이라도 돌아다니는 게..
농업 경제학은 중반부로 가면서 텐션이 떨어질 것 같아서, 중학교 2학년 여학생 두 명을 추가로 투입했다. 설정을 설계하느라고 일주일 정도 작업을 세워놓고 있었고. 둘 다 원 모델이 있는 사람들인데, 눈물 나는 설정이다. 현실에 있는 지금의 중학교 2학년 상황을 반영하기 위해서 나름 신경 쓴. 언젠가 "가난한 소녀들을 위한 수학 도서관"이라는 책을 한 번 준비하려고 해 본 적이 있었다. 와.. 지금 내 주변에 여성 수학박사들과 통계학 박사들 너무 많다. 힘들게들 살아간다.
10대에 대한 얘기를 준비하면서 작년에는 고등학교도 많이 돌아다녔다. 생각보다 많이 놀랐다. '88만원 세대' 쓰기 전에 먼저 하던 연구가 '10대들과 대화하기'였었다. 그 때 내가 20대 연구를 주로 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사실은 10대 연구가 선행 연구였다. 그리고 10년 넘어서 최근에 업데이트를 좀 했다. 그 사이에 변화가 많았다.
기왕에 10대들 얘기를 손에 잡은 거, 독서 얘기와 경제 얘기로 몇 번 더 하기로 했다. 왜? 그건 내 양심이다.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부모는 청소년 학대를 하게 되었고, 비즈니스라는 이름으로 한국 사회가 10대들을 보는 눈은 '지갑'이다. "공부해라", 학대하는 부모와 돈만 보는 마케팅의 세계, 이것 외에 한국이 10대들에 대해서 무슨 생각을 할까? 모든 것들은 유예되어 있을 뿐이다.
내가 한다고 해서 잘 한다는 보장은 없다. 그래도 어떻게 보게 된 거, 그냥 있는 것도 마음이 편하지 않다. 이래라 저래라 할 생각은 없고, 그렇게 한다고 될 일도 아니다. 그렇지만 최소한 이들의 삶을 행정적으로 맡고 있는 교육감 등 공무원들에게, 이런 건 좀 아니다, 그런 말이라도 해주고 싶다.
책이라는 게 그렇다. 이게 올드 매체다. 시청율과 구독율 같은 통계로 치면, 정말 아무 것도 아니고, 또 천천히 움직이는 올드 매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고 이게 세상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성공한 책은 어떤 것은 조금 빠르게, 어떤 것은 조금 늦게, 그렇지만 뭔가 세상을 바꾼다는 것은 확실하다.
주변을 보면 돈은 엄한 데로만 흘러 들어간다. 올드 매체들로 들어오는 돈이 점점 더 줄면서, 교체 주기는 더 짧고, 휘발성은 더 높은 것을 찾는다. 그렇게 다들 변화를 생각하고, 다음 번 '아이템'을 찾거나 베끼거나, 그렇게 부산하게 움직이는 동안 나처럼 천천히 움직이는 사람 한 명 정도 있어도 나쁠 것 같지는 않다.
내가 갈 뻔했던 길에 대해서 가끔 얘기한다. 거의 대부분, 그렇게 좋은 걸 왜 안했느냐, 지금이라도 해라, 그렇게 얘기한다. 나이가 50이 넘어가니까, 좋은 게 좋은 게 아니다. 폼 좀 나는 거 한다고 몇 년 우왕스럽게 움직이다 보면, 나도 금방 환갑줄이다. 그 때, 더 해보고 싶은 게 있다고 후회해도 시간은 다시 오지 않을 것이다. 그냥 지금 내가 하고 싶은 걸 조그맣게라도 하는 게 낫다.
작년은 최악의 한 해였다. 2002년이 정말 힘들고 최악이었던 한 해였는데, 충격의 크기로만 치면 그보다 더했던 것 같다. 그냥 머리 박고 조용히 지내면서 한 해를 버텼다. 그 시간을 지나면서 마음 먹은 게 하나 있다.
"재미있는 것만 하겠다."
이걸 하고, 그걸 발판으로 또 뭘 하고, 그 다음에 뭘 하고, 이렇게 참고 버티는 방식으로 사는 건 재미 없다. 남들 눈에 의미 없어 보이는 거라도, 내 눈에 의미가 있고, 재미도 있는 일들은 많다. 난 그런 것만 하기로 했다. 버티는 방식으로 사는 것, 내 인생에 그런 건 다시 안 하기로 했다.
농업 경제학은, 영혼을 갈아넣는 재미가 있다. 어렵고 힘들기는 한데, 그래도 최선을 다 해서 가진 걸 탈탈 갈아넣고 나면.. 보는 눈이 좀 커진다. 그것도 재미라면 재미다. 세상이 좋아지는 것 혹은 조금이라도 좋아질 것을 기대하면서 뭘 하는 것도 꽤 쏠쏠한 재미다.
버티면서 때우는 방식의 삶은 재미 없다. 영혼이라도 갈아넣을 정도로 죽어라고 할 정도의 동기는, 돈으로는 생기지 않는다. 누구에게 이기기 위한 것도, 이런 동기가 생겨나지는 않는다.
'남들은 모르지.. > 농업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 경제학 책, 절반 끝내고 나서.. (1) | 2020.01.22 |
---|---|
열한 번째 편지를 쓰며.. (1) | 2020.01.20 |
대지의 미래, 니체.. (0) | 2020.01.10 |
농민신문 기고문.. (5) | 2020.01.03 |
농산물 유통 보고서.. (6) | 2019.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