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도서관 책으로 독자들과 티타임을 했다. 거의 20년만인가? 막 수능 끝낸 고3이 한 명 왔다. 사회과학으로서의 내 연구는 10대 연구부터 시작을 했었다. 물론 그 시절의 시도가 아주 성공적이지는 않았고, 그 시절 나는 매우 힘든 시절을 보내고 있었다, 결국 부천에서 이사를 갔고, 그냥 잠실 근처에서 남들 사는 것처럼 티 안내고 살았다. 그런 경험 때문인지, <88만원 세대>를 내던 즈음에는 내가 진행하는 행사에 고등학생들이 종종 왔었다. 그리고 오랬동안 10대에 대한 얘기는 거의 하지 않았고, 나도 10대들을 만날 기회가 거의 없었다. 

몇 년 전부터 의도적으로 10대들을 많이 만났다. 학교에서 부탁이 오면, 좀 멀어도 시간을 내서 되도록이면 가려고 했고.. 주기적인 일은 아니지만, 중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교실도 가끔 했다. 

그리고 돌고 돌아서, 10대들을 위한 책을 세 권을 쓰게 되었다. 처음에는 ‘최소한’ 시리즈로 준비를 했는데. 결국 농업경제학은 포기했다. 도저히 1쇄를 넘길 자신이 없었다. 경제 책, 인권 책, 그렇게 두 권을 준비했다. 최근에 좀 더 뒤로 미루어두었던 평화 경제학을 내년으로 당기게 되었다. 

지난 20년을 돌아보면, 한국의 10대는 경제가 변한 것 이상으로 많이 변했다. 거기에 굳이 들어가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지만, 이제는 10대가 된 아들 둘을 키우는 형편이라, 좋든 싫든, 그 세상에서 꽤 긴 기간을 살 수밖에 없다. 좋든 싫든, 그 또래들의 삶을 매일매일 고민하게 되었다. 

어머니를 따라서 온 고3이 자기가 볼 책 한 권을 하고, 친구에게 준다고 책 한 권에 더 사인을 받았다. 기분이 아주 복잡했다. 이제 몇 년간 가게 될 새로운 길에 첫 발을 떼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10대와 대화하기, 이게 요즘 같아서는 정말 어려운 일이다. 그래도 사회적으로는, 더 늦기 전에 시작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10대들에 대한 애기는, 여전히 미래에 대한 애기다. 

Posted by retir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