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두 권의 경제학 신권에 대해서 해제를 쓸 기회가 되었다.
물론 다른 출판사이고, 경제학자와 수학자, 이렇게 접근이 조금씩 달랐는데, 두 개 다 경제학의 위기를 말하고 있는 점은 같았다. 약간씩 다른 포인트로, 두 권 다 생각을 전환하기에는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책들이다.
라즈 파텔의 책은...
아마 당분간 내 글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책으로 기억될 것 같다.
value와 evaluation이라는 말이 있다. 약간 뉘앙스가 다르다.
이 책을 처음 접했을 때 공교롭게도 내가 정리하고 있던 장의 제목이 '가치와 가격, 경제 시스템, 가치의 복귀', 이런 내용이었다.
2010년대에 가치가 어떤 의미가 있는가, 그런 걸 한참 생각하고 있을 때, 이 책을 읽었다.
얼마 전에 한국경제학회가 있었는데, 정의론에 대한 얘기가 주요 논제가 되었다고 한다.
선생들이 간만에 한국경제학회 같은 데에서 발표 좀 해보면 어떻겠냐고 하셨는데, 아직은 때가 아니고, 일단 제 생각부터 정리를 한 번 해보겠다고 한 적이 있었다.
만약 그 때 발표를 했다면, 아마 라즈 파텔과 아주 유사한 얘기를 썼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 같다.
가치의 복귀와 가치론의 복귀는 조금 내용이 다르다.
글쎄, 세상이라는 것은 돌고 도는 것이니까 가치론이 다시 한 번 유행할 시절이 아주 안 올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어쨌든 가까운 수 년 내에 70년대에 그랬던 것처럼 가치론이 대대적으로 유행하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러나 가치의 얘기는 조금 다르다. 탈 가치, 탈 도덕, 그게 경제의 발전이고, 그런 게 바로 경제학이라는 주장이 90년대 초중반 이후, 20년 정도 유행을 했었다. 그러나 그 딱딱한 경제 근본주의에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로 이론적 균열이 나면서, 요즘은 다른 목소리들이 슬슬 비집고 나오기 시작한다.
경제학을 공부하면서 가장 재밌게 읽은 글이 있다면, 중농학파의 길을 열었던 프랑수아 케네의 '막심'일 것 같다.
요즘 산업시대 혹은 후기산업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눈으로 보면 정말 턱 없이 황당한 얘기이기는 한데, 나야 케네의 중농주의 이론을 워낙 좋아했으니까... 그 이론의 연장선으로, 케네가 제시하는 일종의 경제 윤리 혹은 경제적 권면 같은 게 바로 맥심이다.
예를 들면, 농촌에 사는 귀족들은 자식들을 파리로 보내지 마라, 그러면 경제 망친다.. 요런 얘기들의 연속이 맥심이다.
시골 사는 토호들에게, 자식들 서울로 보내지 말라는 얘기 같은 걸 하니까 요즘의 눈으로 보면 택도 없는 얘기지만, 경제에 대한 분석이 윤리와 분리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을 처음 하게 만든 책이 이 책이다.
맑스 이후로부터만 고전을 읽거나 아니면 아담 스미스 이후로부터는 고전을 읽은 사람들에게는 중농학파의 얘기들이 좀 생소하겠지만. (실제로는 케네나 스미스나, 거의 동시대 사람이다. 연배가 케네가 좀 더 높았던 정도.)
튀르고 같은 사람들의 책도 재미있다. 과연 자본주의 초기의 사상가들은 이 독특한 시스템 내에서 어떻게 사회를 인식하고, 또 세상의 미래를 생각했을까, 그리고 윤리관은... 그런 옛날 얘기를 요즘의 얘기와 비교해서 보는 게, 지겹지는 해도 생각보다는 재밌는 일이다.
나는 케네의 시절이 한 번쯤 다시 돌아올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2008년 이후의 경제학 논의의 한 흐름을 형성하게 된 주류 경제학의 비판에서, 단순한 맑스로의 회기만이 있는 게 아니라, 분석자들이 알고 했든 혹은 모르고 했든, 케네의 느낌이 많이 나는 책들이 확실히 많아졌다.
이론이나 생각이라는 게 확실히 돌고 도는 것 같기는 하다.
한 때 케네 전공을 할 생각도 했었는데, 동경대에서 너무 빠삭하게 연구를 해놓아서 기가 질려서 포기한 적이 있다.
케네의 무덤에 들어가서 초고들과 서간지들을 다시 찾아낸 게 동경대 연구팀이라니, 참 기가 막혀서.
유럽에서도 일본의 자료 축적에 대해서 경외감을 느끼던 시절이 있었는데, 그런 동경대도 학풍이 옛날 같지는 않은 모양이다. 확실한 훈고학이라고 약간 놀림감이 되기도 했었지만, 어쨌든 기원의 문제에 충실하고자 하던 나름대로의 학풍이 감동적이기는 했다.
앞으로의 경제학 논의의 흐름은 어디로 갈까? 워낙 10년 넘게 보수 일변도로 가던 경제학 논의 구도에서 요즘은 좀 다른 흐름들이 나오면서, 그 딴 건 필요없다고 쓰레기통에 버렸던 것을 다시 찾아내는 그런 시기가 올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경제학이 답답하고, 좀 다른 논의는 없느냐, 그리고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것과 같은 모습의 정치 외에는 없느냐, 그런 대안들이 궁금한 사람들이 보면 좋을 것 같다. 미세하지만 중요한 전환이 지금 이루어지는 중이다.
'독서감상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르노빌의 목소리... (6) | 2011.07.14 |
---|---|
분노하라, 스테판 에셀 (1) | 2011.07.14 |
레알 청춘 (3) | 2011.06.13 |
정혜윤, 세계가 두 번 진행되길 원한다면, 프롤로그 (5) | 2011.04.08 |
이정전, 경제학을 리콜하라... (6) | 2011.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