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그만두고 나올 때, 나는 뭔가 만드는 일을 하고 싶었다. 이론가로 살기 위해서는, 당시 상황으로는 한국에 있으면 힘들다는 정도는 알았다. 그래도..

글을 쓰기는 하지만, 평론가로 살고 싶지는 않았다. 나는 뭔가 만드는 걸 하고 싶었다. '경제평론가', 그거는 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의미가 없는 건 아니지만, 나로서는 재미가 없는.

그래서 내내 뭔가 논하는 것보다, 별로 관심 없고 인기 없더라도 만드는 일을 계속 하려고 했다. 그래서 작더라도 개념을 만들고, 설명틀을 만들고, 얘기를 만들고, 이런 게 내가 하려고 하던 일이다.

조국 사태가 전환점으로 넘어갈 때, 나는 농업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었다. 주인공에 해당하는 남자 중학생 두 명을 설정하는 작업을 하고 있었다. 지난 몇 주 동안, 여기에 담임 선생님을 투입하는 일을 했고.. 그러다 보니까 중학교 2학년 여학생 두 명이 있어야 좀 더 다채롭고 이색적이며, 심지어 다크한 얘기들을 꺼낼 수 있을 것 같았다. 내가 좀 더 전위적이라면 중학교 2학년들의 섹스에 대한 얘기까지 갈텐데, 불행히도 나는 그 정도로 전위적이지는 못하다. 그 앞의 다크한 분위기에서 얘기를 세울 생각이다.

이런 얘기들을 만드는 게 윤석렬 사건이 한참 클라이막스로 올라갈 때 내가 하던 일이다. 그리고 조금 틈나면, 수영장 가고..

이 시대에, 누가 농업을 고민하겠나. 그리고 누가 가정 주부 중심으로 만들어진 농업 소비자 얘기를 10대 얘기로 전환해야 한다는 얘기를 하겠나.

조국 얘기에도 별 관심이 없었지만, 윤석렬 얘기에도 별 관심이 없는 건 마찬가지다. "이런 게 세상을 뭔가 많이 바꾸지는 않을 것이다" 기본적인 내 생각이다.

최근에 슈베르트에 관한 책들을 좀 모아서 읽었다. 내가 느낀 교훈은 하나다. 만드는 것이 삶을 행복하게 해줄 지는 몰라도, 하여간 그렇게 살았던 사람들이 있기는 했었다..

이 사건의 여파로 결국 손석희가 마이크를 놓았다. 나는 손석희를 그렇게까지 좋아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엄청난 손실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시대는 변하고, 새로운 영웅은 등장하기 마련이다. 큰 영웅이든, 작은 영웅이든..

그렇지만 손석희가 "소는 누가 키우냐"라고 했던 말은, 지금도 멋진 말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은 여전히 소 키우는 사람들의 시대가 아니라 한우 맛집의 시대 같은 거 같다. 그 맛집의 시대도 저물어가는 것 같다..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bar/924074.html?_fr=mt1&fbclid=IwAR1wKSJC9eXsyezjzu36PpYsvN-OIMh3L9KmtBcixDHhg0Tk3VvwtIk6igA

 

‘상식의 힘’ 앞에서 무너지는 보수언론·파워 논객들

성한용 선임기자의 정치 막전막후

www.hani.co.kr

 

 

 

'책에 대한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바이러스, 작가들 긴급 생계지원?  (1) 2020.02.03
복닥복닥한 한 해..  (0) 2020.01.14
새로운 한 해는 또 시작되고..  (6) 2020.01.02
작은 등대..  (4) 2019.11.25
마이너의 마이너..  (1) 2019.11.24
Posted by retir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