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만에 극장에 가서 영화를 봤다. <코코 샤넬>...
<혁명은 이렇게 조용히>에 가브리엘 샤넬에 대한 얘기를 좀 길게 썼고, 사실상 결론이 가브리엘 샤넬인 셈이라서 봤다만...
샤넬 얘기를 가지고 이렇게 영화를 재미없게 만드는 것도 가능하구나, 그리고 오드리 또뚜가 나오는 데도 이럴 수 있구나, 사실상 경악을 금치못하게 재미는 없었다.
샤넬이라는 최고의 상품을 가지고도 이렇게 장사를 못하는 수도 있나 싶었다. 꺄날 +에서 후원한 영화들은 대체적으로 재미는 있었는데, 도대체 이럴 수가 있나.
지금은 아니지만, 한 번쯤은 샤날에 대한 책을 써보고 싶었고, 내가 샤넬을 얼마나 좋아했었던가, 그런 생각을 하면서 영화를 보니까, 더 괴로웠다.
그래도 배운 건 있다. 한국은 망할 것이라는 점.
용산 CGV에서 봤는데, 관객이 열 명이 채 안되었는데, 이 관객들은 아주 특색있는 사람들이었다.
40대 중후반은 될듯한 부부가 전부였는데, 아마 샤넬을 동경하거나 흠모하거나 혹은 소유하고 있는 아주머니들이 남편을 끌고 온, 그런 것이 아닐까 싶었다.
어쨌든 내 극장 생활에서 이렇게 중년 부부들로만 차 있는 영화관에서 영화 본 것은 아마 처음이 아닐까 싶다.
마크 제이콥스의 옷을 입는다거나 아니면 샤넬의 옷을 입는다고 해서 내가 뭐라고 그런 적은 없다.
샤넬의 옷을 입는다거나 샤넬의 상품을 소비한다는 것은 어떤 면에서는 샤넬의 혁명 정신을 소비하는 것이고, 그래서 일종의 언어와 같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영화 내에서는 별 중요한 장면은 아니었지만, 푸르동의 저서를 샤넬이 읽게 된다. 그리고 푸르동의 책을 다 읽은 샤넬은, 아마 틀림없이 다음 책으로 니체를 읽게 될 것이라고 암시한다.
<자본론>을 모든 것의 전부라고 아는 사람들은 푸르동을 아주 이상한 사람 정도로만 생각하고, 비과학적 접근을 한 사회주의자로 알고 있겠지만, 사실 프랑스 좌파의 역사에서 푸르동은 아주 중요한 사상가이다.
푸르동과 샤넬의 만남, 그리고 그의 혁명성 같은 것들은 아직도 채 해석이 끝나지는 않은 일이라고 알고 있다.
하여간 충격적인 것은...
샤넬을 그렇게 좋아하면 샤넬에 대해서 좀 궁금해지기라도 할텐데, 그런 흔적은 극장에서 전혀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아니, 샤넬의 정신 같은 것은 생각할 필요가 없다고 하더라도, 샤넬처럼 돈 벌고 싶지는 않은가 보지? 샤넬처럼 돈 벌고, 샤넬처럼 신나게 사는 것도 즐거운 일 아닌가?
영화는 재미없었지만, 그래도 샤넬이 어떤 사람인지, 지금 샤넬을 소비하는 사람들 중에서 전혀 궁금증이 없다는 사실에, 약간 절망하고, 이 나라가 결국 망하기는 하겠구나, 그런 생각을 지우기가 어려웠다.
세상에는 샤넬을 소비하는 사람과 샤넬과 같이 무엇인가를 만드는 두 부류의 존재로 나뉘어진다.
지금 좌파가 해야 할 일은, 내 평소의 소신이라면, 샤넬과 같이 무엇인가를 생산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샤넬처럼 실제로 변화를 만들어내는 일이다.
한국은 소비하면서도 도대체 뭘 소비하는지도 모르고, 생산한다는 것은 더더군다나 생각해보지 않은 사람들의 집단으로 변해가는 것 같다.
샤넬이라는 이름을 듣고도 가슴이 설래이지 않는 사람들, 도대체 입에 밥이 들어갈까, 그런 생각이 좀 들었다.
샤넬을 소비하면서 샤넬에 대해서 궁금해서 어쨌든 극장까지 오는 40대 주부들과, 역시 샤넬을 동경하면서도 전혀 궁금해하지 않는 20대 여성들이 경쟁하면 누가 이길까?
어쨌든 영화라도 보는 아줌마들이 결국에는 파라다임 싸움에서 이기게 되지 않을까?
샤넬도 푸르동 정도는 읽고, 자본론도 읽었고, 니체도 읽었다. 그리고 20세기가 열었다.
샤넬이 연 20세기는 버나드 쇼와 같은 남자들이 열어제낀 그 세계와는 전혀 다르다.
이거 진짜... 샤넬 전기라도 한 번 쓰던지 해야지.
아르테꼬의 진지한 전사들 생각하면, 등골이 오싹해진다. 국가 장식학교로 번역되나? 하여간 정부에서 연간 수 백만원씩 재료비 지원하면서 패션을 배우는 사람들을 좀 안다.
20대 초반에, 샤넬이 사치품이라고 한 마디 했다가, 아주 뼈도 못추리게 프랑스 넘들한테 논쟁으로 당했던 기억이 소록소록.
넌 샤넬을 이해못하면, 20세기를 절대로 이해할 수 없다고, 아주 처절하게 당하고, 뼈도 못추리게 당한 적이 있다.
하긴, 그러면 뭐하나...
프랑스도 사르코지한테 넘어가고, 자신들이 자랑하는 그 생산체계도 마크 데이콥스 같은 뉴욕 좌파들에게 결국 조금씩 넘어가는 중인데 말이다.
한국은 패션계로 들어오면, 우파와 극우파들이 득실득실하다.
프랑스는 패션계의 마네킹이라고 부르는 모델들까지, 좌파들이 득실득실하다.
이 차이가 생산과 소비의 차이인 것 아닐까, 그런 가설들을 하나 가지고 있다.
우파들이 패션 시장에서 쪽도 못 쓰는데, 우파 코드로 대구에서 밀라노 프로젝트 하다가 결국 지방 토호들 주머니만 채워주게 되었다.
우파들은 생산, 특히 이론과 예술 분야에서 아주 약하기 때문에, 결국 밀라노 모델이든, 파리 모델이든, 프랑스 모델이든, 그런 생산의 영역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좌파 코드와 좌파의 유전자가 필요하다.
'영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류인생과 김민선 (2) | 2009.09.11 |
---|---|
인디 스페이스와 다큐 (11) | 2009.09.10 |
쿡 티비, 그리고 <타짜> (12) | 2009.08.25 |
카모메 식당 (9) | 2009.06.01 |
반딧불의 묘 (12) | 2009.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