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사구팽 그리고 순교의 마음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가 가마솥에 들어간다, 그게 참 가슴 아리지만 세상의 이치 중의 하나이다. 토사구팽, 한신이 했던 얘기이다. 그게 싫었던 사람들은 그냥 산으로 들어갔다. 원래 그렇다.

 

<닥터 지바고>에 보면, 진짜 황당한 인간, 코마로프스키가 혁명 전에도 실력자이다가 혁명 후에도 여전히 실세인 장면이 나온다. 러시아 혁명 이후에도 설탕을 들고 오는 장면, 참 그 장면이 뇌리에서 지워지지가 않는다.

 

좋은 세상이 오면 어려웠던 시절에 고통받던 사람들이, 가족들끼리도 회후하고 말년도 편하게 보내고, 그래야 할 것 같다. 그게 사람의 마음인데, 그것과 가장 비슷한 모습은 프랑스의 레지스탕스 얘기에서 좀 본 적이 있다. 소년 연락병이이었던 미테랑이 프랑스 최초의 좌파 대통령이 되었고, 그 시절에 나치와 싸웠던 사람들이 담배가게의 독점적 주인이 되었다.

 

우리에게는 그런 역사가 잘 없다. 녹두장군은 그냥 죽었고, 왜정 시대에 뭔가 한 사람들은 아주 어려워졌다.

 

중학교 시절에 단짝 친구 중에 광복이라는 친구가 있었다. 아주 잘 생겼고, 공부도 잘 했다. 외할아버지가 유명한 독립군이라서, 손자 이름을 광복이라고 하라고 그랬다는 거다.

 

다른 중학교 친구들은 대학 시절에 대부분 다시 만났는데, 끝까지 못 만난 친구가 바로 그 광복이였다. 대학에 못갔다는 얘기를 나중에 얼핏 건너 들었다.

 

유명한 독립군 영웅의 손자가 대학에 올 수 없었던 일, 그게 내 기억에 오랫동안 남았다.

 

중학교 때, 나는 약간 세상에 대해서 알았던 것 같다. 그래서 내가 어떤 흐름에서 혹은 어떤 피에서 나온 사람인지, 그 때 처음 알아봤다.

 

그 시절에 내가 알아본 거로는, 친할아버지는 왜정 때 마포서 형사였다는 것 같다. 정말 가난하게 물려준 게 없던 양반인데, 그 시절에 내가 이해하기로는 하여간 친일파라고 나는 이해했다.

 

나는 외할머니가 키워주셨다. 외할아버지는 아주 예전에 돌아갔으닊 나한테 아무 기억도 없다. 어머니가 고등학생 시절에 돌아가신 외할아버지는, 사람들의 기억을 더듬어보면, 동아일보 데스크에 계셨던 기자였던 것 같다. 하여간 친척들의 기억을 중학교 때 내가 모아본 거로는, 그렇다. 


중학교 시절, 나의 선조들에 대한 얘기들을 이리저리 맞춰보니, 친가나 외가나, 영락없는 친일파 집안에서 내가 태어난 거다.

 

그래서 어머니한테 여쭤봤다.

 

우리 외할아버지가 친일파 맞지요?

 

어머니 대답은, 정말 엉뚱했다.

 

친일파가 아니라, 일본 사람들도 할아버지를 존경해서, 집에 와서 유상 유상, 그렇게 불렀다.

 

친일파 맞네

 

근데 왜 이렇게 집안은 가난해, 양가가 다 친일파 집안인데?

 

그게 중학교 2학년 때쯤, 내가 세상에 대해서 처음 생각해본 시절에 내린 결론이다.

 

양가 다 친일파이지만, 해방과 6.25를 거치면서 쫄딱 망한 집안.

 

하여간 내가 독립군 후손이거나, 아니면 그 시절에 뭔가 하려고 했던 집안 내력이 아니라는 것은, 너무도 명확해 보였다.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이 야릇한 아버지의 집안에서 4년제 대학을 처음 간 게 나였고, 여기서 나온 첫 번째 빨갱이이기도 하다. 내가 아는 한도에서 양가 통틀어서 여전히 조선일보를 안 보는 유일한 사람도 나이고, 명박에게 투표하지 않은 사람도 아마 어른들 중에서는 유일할 것 같다.

 

아마 내가 사실상 이 집안의 장남이고 장손이 아니었다면, 이 지독할 정도의 친일파 집안, 그리고 보수적인 집안에서 최소한도의 나를 지키지도 못했을 것 같다. 보수적인 집안이라서, 유달리 장남의 권한이 강하다.

 

하여간 이런 삶을 살다 보니, 왜정 시대, 그리고 그 후의 삶에 대해서는 좀 민감하게 되었다.

 

토사구팽, 그게 한국이 만든 전통이다.

 

힘들게 새 세상을 만들면 고생한 사람이 최소한의 대가를 받는 게 인지상정,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렇게 역사를 만들지 않았다.

 

그런 점에서는 여전히 나는 레닌이 만들고자 했던 민중들의 공화국에 대한 미련이 남아있다. 현실 속에서는 실패하기는 했지만, 그런 꿈들을 꾸어본 적이 있기는 했다.

 

명박과 함께, 진짜 지난 4년간 아주 이상한 시대를 만났다.

 

그 이상함의 강도가 너무 깊어서, 그걸 물려야 한다는 사람들이 한국에 생겼다. 그것도 아주 많이 생겼다.

 

그렇다면 그 사람들이 행복해질 것인가?

 

근데, 그게 안 그럴 것 같다.

 

노무현 때 인수위원회 보면서, 이 정부는 망할 것 같다고 생각하면서 공직 생활을 그만둔 적이 있다.

 

박원순의 서울시를 보면서, 그 때보다 더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이 싸움을 1년은 더 해서, 정권을 바꾸어야 한다.

 

그 다음의 시기가 과연 우리가 바랬던 좋은 세상이 될 것이냐,

 

그런 고민과 함께 과연 지금 고통 받는 사람들이 그 시절에는 행복을 누릴 것인가?

 

그렇지는 않을 것 같다.

 

친일파들이 살아남은 역사가, 지금 명박과 싸워서 정권을 바꿔도, 조금은 다른 식으로 계속 될 것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그 격차를 줄이는 정도.

 

그래서 요즘 갑자기 토사구팽이라는 생각을 떠올리게 되었다.

 

세상 좋게 만드는 것,

 

그것은 자신의 삶을 풍족하게 만들기 위함이 아니다.

 

Martyr, 문득 순교자라는 단어가 떠올랐다.

 

명박과의 싸움, 여전히 순교자가 되는 마음으로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것은 숭고해서가 아니라, 돌아올 것들에 대한 이해를 끊기 위함이다.

 

토사구팽, 그것은 오래 전부터 세상의 진리와 같다. 인간이 그걸 바꾸기는 어렵다.

 

다만 우리는 순교자 같은 마음으로, 현세를 조금이라도 개선하기 위해서 노력할 뿐이다.

 

요즘 김어준을 옆에서 보면,

 

놀기 좋아하고 발랄한 것 좋아하는 그가,

 

문득 순교자 같은 생각을 본인이 하고 있지 않나, 그런 느낌을 받았다.

 

인간이 처리할 수 없는 일정을 살인적으로 강행하는 그를 보면서,

 

토사구팽이라는 단어, 그리고 martyr이라는 단어가 떠올랐다.


(대구 콘서트 이후 잠시 쓰러졌다는 그를 보면서, 이것저것 생각이 많아졌다.)
Posted by retir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