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로서의 내 입장이 크게 한 번 바뀌는 순간이 있었다. 그 이후 나온 첫 책이 바로 사회적 경제 책이다. 아마 내 인생 후반기를 시작한 책이라고 기억할 것 같다...) 

 

1.

흔히들 물들어 올 때 노를 저어야 한다는 얘기를 한다. 정치권에서도 많이 쓰고, 방송계에서도 많이 쓴다. 인기 있을 때 뭘 많이 해야 한다는 말이다. 나는 30대에 인기를 얻었다. 그리고 이걸 해야하나 말아야 하나, 그렇게 고민하고 있을 때 나에게 많은 사람들이 해준 말도 이 말이다. “물들어 올 때 배 노 젓기”, 나도 그런 인기는 처음이라서 뭘 잘 몰았다.

 

이제 50이 되었다. 지난 날을 되돌아 보면서 반성을 하는 중이다. 앞으로 살아야 할 날이 또 지금만큼 있다고 생각하면, 지금이라도 반성을 하고 내가 잘못한 것들을 다시 잡는 수밖에 없을 것이다.

 

내가 제일 잘못한 것 딱 하나를 꼽으면 물들어 올 때 노 젓기’, 이게 책의 세계에서는 말도 안되는 얘기라는 것을 내가 몰랐던 점이다.

 

아이작 아시모프는 인터뷰를 거의 안 하는 작가였다. 말년에 워싱턴 타임즈가, 하여간 되게 유명한 매체랑 인터뷰를 한 번 했나 보다. 아주 오래되고 넓은 스타들의 넥타이를 맸다. 나는 아이작 아시모프가 넥타이를 맸다는 것만으로도 놀랐다. 하여간 이 낣은 넥타이를 보고 인터뷰를 하러 간 젊은 기자가 놀렸나 보다. 가만히 있을 아이작 아시모프가 아니다.

 

만약 내가 멋진 넥타이를 매고 살았다면 지금의 아이작 아시모프는 없었을 겁니다.”

 

바로 한 방 날렸다. 그런 얘기를 나도 알고는 있었는데, 막상 그런 순간이 오자, 뭘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몰랐다. 기자들이 해주던 조언이 있었다. 방송국에서 해주는 조언들도 있었다. 나쁜 얘기는 아니다. 그리고 나쁜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애당초 들을 필요가 없는 얘기였다. 그냥 나는 내 길을 가면 되는 거였다. 그렇게 못했다.

 

나와 같은 길을 걷는, 내 앞의 사레가 없었다. 그래서 나는 보고 듣고 혹은 모방할 모델이 없었다. 대개 내 앞에 있던 사람들은 열심히 책을 쓰고 기회가 되면 대학에 자리를 잡았다. 그게 마지막 목표였던 것 같다. 대학에 갈 기회가 몇 번 있었는데, 40대 이후로는 내가 안 갔다. 정확히 말하면, 아내가 말렸다.

 

니 성격에, 니가 총장이라 싸워 안 싸워?”

 

물론 싸우겠지.”

 

그럼 니가 빽이 있어 뭐가 있어, 짤려 안 짤려?”

 

짤리겠지,”

 

그러니 얌전히 살아, 괜히 헛바람 넣는 교수들하고 술이나 처먹으러 돌아 댕기지 말고.”

 

그래서 40대가 되었을 때, 나는 교수는 안 하기로 애저녁에 마음을 먹었다. 동경대 등 외국에서는 연구직 제안이 건너건너 오기는 했는데, 그것도 귀찮아서 안하기로 했다. 그렇게 삶을 한가하게 만들었는데, 언론과 방송에 너무 자주 나가게 되었다. 내가 왜 한가해졌는지, 순간 까먹었다.

 

굳이 변명을 하자면, 그 때는 이명박과 박근혜, 어두운 시기였다. 어떻게든지 채널이 열리거나 창구가 열리면, 누구든지 나가서 할 얘기를 해야한다는 분위기가 있었다. 그렇지만 그건 변명이다. 결과적으로 내 삶이 파국으로 가게 되었다.

 

2.

내가 나를 진단해보면, 제일 큰 오류는 영점 조준이 틀렸다는 것이다. 사소한 차이지만 나에게는 치명적 오류를 만들어냈다. 책을 누구를 위해서 쓰는가? 나는 시민과 10대들을 위해서 쓴다고 생각한다. 시민이 뭐야? 그냥 우리가 시민운동이라고 말할 때 그 시민이다. TV는 시청자를 보고 얘기하는 거고, 라디오는 청취자를 보고 얘기하는 거다. 어차피 같은 사람일지도 모르지만 약간씩 다르다. 이런 차이를 나는 잘 몰랐다. 어차피 그게 그거 아냐? 다 국민 아냐?

 

나는 국민을 위해서 책을 쓰지는 않는다. 그런 국가주의의 신봉자는 아니다. 꼭 내 책을 사지는 않더라도 읽기로 마음을 먹은 사람들을 생각하고 쓰는 것과 불특정 다수를 염두에 두는 것은 약간의 뉘앙스 차이가 있다. 그런 사소한 차이가, 책의 첫머리, 맺음말, 흘러가는 톤, 이런 것에 영향을 미친다.

 

40대의 나는 그런 차이까지는 미세하게 몰랐다. 저자로서의 결정적인 패착은, 팟캐스트 방송이었다. 방송 후반기를 제외하면 기본 기획을 내가 했었다. 책의 독자와 팟캐스트 청취자는 엄밀히 얘기하면 약간은 다른 사람인데, 방송을 너무 많이 하다 보니까, 내 시선이 흔들리게 되었다. 내가 누구를 위해서 말을 하는가? 듣는 사람에게 부탁하는 것과 읽는 사람에게 부탁하는 것 사이에는 미묘한 차이점이 있다. 나는 그런 걸 잘 구분하지 못했다.

 

결국에는 망했다. 책이 점점 더 기능적으로 바뀌는 것 같았고, 전에 했던 방식들에 자꾸 의존하게 되었다. 일단은 내가 재미가 없어져서 책을 쓰는 것의 의미를 점점 더 읽어가게 되었다.

 

그래서 책을 그만 쓸 것인가, 계속 쓸 것인가, 그런 고민을 지난 2년간 했다. 뭐가 문제지, 어디서부터가 잘못 되었지? 꼼꼼하게 나의 많은 것들을 다시 돌아보고, 하나하나 짚어보았다.

 

그래서 나온 진단이, ‘물 들어올 때 노 젓기’, 여기서부터 내가 틀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물이 들어오거나 말거나, 그냥 내 길을 가야하는 거였다. 인기가 있거나 인기가 없거나, 내가 변하는 것도 아니고, 내 책이 변하는 것도 아니다. 인기를 위해서 책을 쓴 것도 아니고, 돈을 벌기 위해서 책을 쓴 것도 아니다. 나는 원래 그런 사람이었다.

 

방송을 하다 보면 시청률을 인식하게 되고, 생각이 바뀐다. 신문에도 글을 쓰다 보면 조선일보식 열독률 혹은 클릭수 같은 것을 신경 쓰게 된다. 그런 하나하나의 것들이 나의 영점을 흔들리게 만든 요소들이다. 결국 나도 사람이다. 강철도 아니고, 기계도 아니다.

 

그래서 방송, 기고, 이런 것들을 끊었다. 앞으로는 물 들어올 때 노 젓는 방식으로 살지는 않으려고 한다. 이 얘기의 일부가 <국가의 서기> 서문에 쓴 두껍게 썰기에 관한 얘기였다. 나는 저자로서, 내가 뭐하는 사람인지 비로소 알게 되었다. 나는 독자에게 얘기하는 사람이다.

 

저자로서 내가 발전하지 못하고, 지체되고, 성숙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서 지난 2년간 끊임없이 고민했다. 그랬더니, 진단은 의외로 간단했다. 내가 누구에게 얘기하고 있는 것인가, 이게 흔들린 거였다.

 

간단한 원칙이다. 신문에 글 쓰려고 책 쓴 거 아니고, 방송에 나가려고 책 쓴 거 아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그렇다. 책을 들어 읽으려고 한 사람들, 그들은 한국에서 가장 고급스러운 대중인 독자들이다. 나는 독자들에 대한 감사와 의미를 책 데뷔한지 10년이 지나서야 알게 되었다. 흔히 배우나 연예인들이 말하는 것처럼,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 의미가 아니다. 책을 골라서 집어들고 독서한다는 행위의 거룩함에 대해서, 정말 나도 잘 몰랐다. 얼마나 고급스러운 사람들 앞에 내가 선 것인가, 그렇게 생각을 해야 뭐라도 더 나아가려 하고, 새로운 시도를 겁내지 않고 할 수 있게 된다. 이 책을 사줄 것인가, 안 사줄 것인가, 나는 시청률 앞에 선 방송국 PD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게 내가 망한 이유다. 나는 내가 왜 책을 쓰기 시작했는지, 왜 여기에 인생을 걸었는지, 어느 날 잊어버렸다. 그걸 잊지 않기 위해서 지금 이 글을 쓴다.

 

물들어 올 때 노 젓는 거다”, 이렇게 얘기하는 사람이 있으면 나는 이제 그런 얘기는 여의도에 가서나 하시라”, 이렇게 얘기해 줄 거다. 책이 물이다. 책이 태풍이다. 노 젓는 것은 언론과 방송이 하는 일이고, 독자들과 함께 그 물을 만들고 물길을 내는 것, 그게 책이다. 정작 책이 물이었고, 사람들이 그 물을 기다린다는 것을 나는 10년 지나서야 알게 되었다.

 

한국에서 작가가 된다는 것, 그것은 스스로 물이 된다는 것이다. 작가는 노 젓는 사람이 아니다. 물을 만들고 물길을 내는 사람이다. 그 일을 하면서, 나는 바보 같이 내가 뭐하는 사람인지도 몰랐다. 그게 내가 신문 칼럼과 방송을 끊은 이유다.

 

그리고 다시 돌아보니까 아이작 아시모프 등 유명했던 작가들의 에피소드들이 무슨 얘기였는지, 이제야 조금 이해하게 되었다. 물 들어 올 때 노 젓는 거, 그거 아니다.

 

'책에 대한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579를 넘어서기  (0) 2018.04.30
책, 성질 더러운 사람들의 일  (0) 2018.04.19
책으로 먹고 살 수 있을까?  (2) 2018.04.17
좀 더 전위적인 시도를 위해서  (1) 2018.04.15
습작 시절  (3) 2018.04.13
Posted by retired
,